이마트, 100% 당도선별 수박을 35% 저렴하게 판매

입력 2014-05-13 10: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 이마트

대형마트 수박 전쟁 막이 올랐다.

이마트는 100% 당도선별 수박 30만통을 준비해 평소보다 최대 35% 싼 가격으로 15일부터 21일까지 판매한다고 13일 밝혔다. 6~8kg 크기별로 1만1000~1만4000원이다.

이마트는 품질 좋은 수박을 확보하기 위해, 수박을 파종하기 전인 6개월 전부터 수박 유명 산지 논산ㆍ부여ㆍ고령 생산농가와 사전 기획을 통해 오직 이마트에만 납품하도록 계약했다.

또 이번 행사 물량은 비파괴 당도 검사를 통과한 수박으로만 전량 준비했다. 수박의 외형 손상 없이 당도 검사기를 통과해 11브릭스(brix) 내외 일정 기준을 통과한 수박만 골라 ‘당도 선별 수박’이라는 이름으로 매장에 입고하는 것.

100% 당도 선별 기준을 통과한 수박만 골라 당도 선별 수박을 여름 내내 판매하는 것은 대형마트 가운데 이마트가 유일하다. 이마트에서 수박을 구매하는 고객은 사전 시식을 원할 경우 원하는 수박을 골라 그 자리에서 잘라 맛보고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수박은 불과 7~8년 사이에 하우스 재배 면적이 전체 수박의 80%를 상회할 정도로 크게 늘고 영농 기술이 급속도로 향상돼, 5~6월 초여름 수박 맛이 7~8월 한여름 수박 맛보다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박 전문가들은 수박 맛의 확률이 가장 높은 시기를 하우스 수박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5월 중순~6월 상순으로 꼽고 있다. 특히 1모작 수박은 2모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당도가 1~2브릭스 높고 크기도 10% 가량 큰 편이다.

이마트는 씨 없는 흑피수박, 속이 노란 망고수박<사진>, 황금수박 등 다양한 신품종 수박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신현우 이마트 수박 바이어는 “특히 올해는 작황이 좋고, 한파나 이상기후가 없어 전년 대비 수박 시세의 큰 변동이 없었다”며 “이마트 수박은 산지 직거래를 통해 이마트 전용 농장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시중가 대비 저렴하게 판매할 수 있고, 맛과 품질 면에서도 맞춤형 생산을 통해 일정 수준의 당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즉생' 발언 후 첫 주총 삼성전자, 고강도 쇄신 나선다
  • 후폭풍 '미미'→재지정…열흘 만에 180도 바뀐 서울시…"시장 혼란만 증폭"[3·19 안정화 방안]
  • 리얼 허거덩거덩스·햄부기햄북…성인 80% "신조어로 세대 간 소통 불편" [데이터클립]
  • "약속을 잘 지키는 생선이 있다"…'조기'를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김수현 소속사 반박에…김새론 측 "미성년 시절 입증 사진 포렌식"
  • "3년도 안 돼 문 닫는다"…빚만 1억, 소상공인 '눈물의 폐업'
  • “선예매도 ‘등급’이 있어요” 프로야구 티켓 논란…최상위는 암표? [해시태그]
  • "사직서 내러 뛰어가나?"…'언슬전', 싸늘한 안방극장 시선 돌릴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979,000
    • +3.68%
    • 이더리움
    • 2,976,000
    • +6.51%
    • 비트코인 캐시
    • 499,800
    • +2.15%
    • 리플
    • 3,649
    • +10.11%
    • 솔라나
    • 194,800
    • +6.97%
    • 에이다
    • 1,071
    • +5.1%
    • 이오스
    • 838
    • +12.63%
    • 트론
    • 337
    • -0.3%
    • 스텔라루멘
    • 422
    • +6.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550
    • +3.89%
    • 체인링크
    • 21,210
    • +5.79%
    • 샌드박스
    • 436
    • +6.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