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톤 트럭의 인기’ 씁쓸하네…

입력 2014-05-07 10: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포터·봉고3 역대 최고 판매량… 영세 창업자 늘어난 탓

지난해 직장을 그만둔 김명진(48)씨는 ‘이동식 카페(푸드트럭)’를 운영하기 위해 1톤 트럭을 구입하려 했지만 한 달 이상 기다려야 한다는 답변을 들었다. 김씨는 “1톤 트럭은 중고차 시장에서도 인기가 많아 차량을 구입하는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올 들어 1톤 트럭의 판매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정부의 푸드트럭 개조 합법화 추진, 기업의 명예퇴직 확산과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에서 1톤 트럭을 판매하는 업체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다. 이들 회사의 1톤 트럭 ‘포터’와 ‘봉고3’는 올 들어 4개월간 5만3392대가 판매돼 전년 동기 대비 10.5% 판매량이 늘었다.

차량별로는 포터는 3만3776대, 봉고3는 1만9616대가 판매돼 전년 대비 각각 13.2%, 6.1% 증가했다. 포터는 승용차를 제치고 올해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이다.

이들 차량이 인기를 끄는 것은 최대 2500만원대에 창업을 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포터와 봉고3는 신차 기준 1300만~1900만원대에 판매되고 있다. 여기에 300만~500만원을 투자하면 차량을 푸드트럭으로 개조할 수 있다. 차량을 중고로 구입하면 창업비용은 1000만원 이상 낮아진다. 최저 1000만원대에 창업을 할 수 있는 셈이다.

1톤 트럭의 판매 증가로 영세 자영업자가 다시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고용원이 없는 1인 자영업자는 올해 1분기 말 기준 400만5000여명이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412만6000여명보다 2.9% 감소한 수치다. 1인 자영업자는 지난해 3분기 423만여명을 정점으로 점차 줄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기업들이 올해 군살 줄이기 경영기조를 강화하면서 자영업자가 다시 늘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KT는 최근 8300여명이 명예퇴직을 신청할 정도로 퇴직자 규모가 크다. 또 포스코와 동부그룹, 두산그룹 등도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몸집 줄이기에 집중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1955~1964년생) 가구의 가계부채는 지난해 1억1760만원으로 전년의 9927만원보다 18.5% 증가했다. 이 때문에 이들이 경쟁이 치열한 1인 자영업 시장에 뛰어든 뒤 실패하면 경기 회복 기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즉생' 발언 후 첫 주총 삼성전자, 고강도 쇄신 나선다
  • 후폭풍 '미미'→재지정…열흘 만에 180도 바뀐 서울시…"시장 혼란만 증폭"[3·19 안정화 방안]
  • 리얼 허거덩거덩스·햄부기햄북…성인 80% "신조어로 세대 간 소통 불편" [데이터클립]
  • "약속을 잘 지키는 생선이 있다"…'조기'를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김수현 소속사 반박에…김새론 측 "미성년 시절 입증 사진 포렌식"
  • "3년도 안 돼 문 닫는다"…빚만 1억, 소상공인 '눈물의 폐업'
  • “선예매도 ‘등급’이 있어요” 프로야구 티켓 논란…최상위는 암표? [해시태그]
  • "사직서 내러 뛰어가나?"…'언슬전', 싸늘한 안방극장 시선 돌릴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91,000
    • +3.16%
    • 이더리움
    • 2,969,000
    • +7.18%
    • 비트코인 캐시
    • 496,300
    • +1.16%
    • 리플
    • 3,665
    • +11.2%
    • 솔라나
    • 191,300
    • +5.11%
    • 에이다
    • 1,068
    • +5.43%
    • 이오스
    • 838
    • +15.75%
    • 트론
    • 337
    • +0.9%
    • 스텔라루멘
    • 421
    • +6.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100
    • +3.84%
    • 체인링크
    • 21,040
    • +5.52%
    • 샌드박스
    • 430
    • +5.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