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스피 상장사 유동비율 5%포인트 소폭 증가

입력 2014-04-07 09: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주강 유동비율 1756%…팀스·신도리코·일성신약·모토닉 순

지난해 유가증권 시장 상장기업들의 단기채무 지급능력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702곳 중 568곳을 대상으로 유동비율(개별 및 별도 재무제표 기준)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말 기준 유동비율은 126.56%로 전년 대비 5.36%P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유동자산은 422조7688억원으로 4.82% 늘었지만, 유동부채 또한 334조587억원으로 0.38%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거래소 측은 △결산기 변경 △분할·합병 △감사의견 비적정 △사업보고서 미제출사 등 전년도와 비교가 불가능한 회사와 금융업 및 지주회사 등 총 134개사 제외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상환능력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지난해 유동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한국주강으로 1756.00%를 기록했지만 전년 대비 195.48%P 감소했다. 이어 팀스(1709.32%), 신도리코(1637.00%), 일성신약(1432.97%), 모토닉(1279.26%) 순이었다. 이밖에 삼영전자공업(1152.87%), 고려포리머(1083.42%), 환인제약(988.96%), 부광약품(913.68%), 세우글로벌(907.55%) 등이 유동비율 상위사에 이름을 올렸다.

다음으로 유동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팀스로 1415.94%P 늘어났다. 이어 유동비율 증가율이 높은 곳은 △일성신약 1222.59%P △부광약품 509.62%P △신도리코 383.67%P △고려포리머 348.78%P였다. 이밖에 로엔케이(323.50%P), DCM(304.80%P), 영풍(217.14%P), 조흥(214.91%P), KCC(172.57%P) 등의 순으로 유동비율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소 관계자는 “상당수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됐다”며 “향후 경영환경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기업들이 유동성을 높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479,000
    • +1.55%
    • 이더리움
    • 5,271,000
    • +0.13%
    • 비트코인 캐시
    • 656,000
    • +1.23%
    • 리플
    • 728
    • -0.95%
    • 솔라나
    • 235,300
    • +0.51%
    • 에이다
    • 627
    • -1.72%
    • 이오스
    • 1,133
    • +0.8%
    • 트론
    • 155
    • -0.64%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500
    • +0.06%
    • 체인링크
    • 25,630
    • -3.32%
    • 샌드박스
    • 617
    • -1.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