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에 감도는 ‘한국GM 데자뷰’

입력 2013-12-13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합작공장 설립으로 부산공장 수익성 악화 예고…철수위기 GM 군산과 ‘닮은꼴’

르노삼성자동차가 ‘발빼기’ 논란에 휩싸였다. 르노그룹이 중국에 합작공장을 설립하기로 밝히면서 르노삼성 부산공장 물량이 중국으로 빠져나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르노삼성에 따르면 르노와 중국 둥평자동차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 합작공장을 설립해 오는 2016년부터 연간 15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하기로 했다. 이는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의 연간 생산량 12만대를 훌쩍 뛰어넘는 대규모 물량이다.

중국공장에서는 친환경자동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공장에선 매년 중국 시장에 3만대가량을 수출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80%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것과 동일한 모델인 ‘QM5’로 이뤄져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부산공장의 수출 물량을 르노그룹이 중국에 넘길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출시된 QM3도 국내에서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유럽에서 생산된 물량을 수입 판매하기 때문에 부산 물량을 중국에 넘겨주는 시나리오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특히 이 같은 부산공장의 물량 이전 논란의 중심에는 통상임금과 잦은 파업에 따른 생산성 저하라는 지적이 자리한다.

지난달 26일 방한한 제롬 스톨 르노그룹 부회장은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에 대해 “꾸준히 효율을 개선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며 “결국 경쟁력 있는 공장에 생산물량을 분배할 수밖에 없다”고 쓴소리를 했다.

현재 한국지엠과 르노삼성 모두 한국에서 통상임금 관련 소송을 진행 중이다. 관련업계는 임금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파업도 잦은 상황에서 통상임금마저 불거지면서 외국차 업계가 생산량을 줄이면서 국내에서 발을 빼려는 움직임이 본격 가시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한국지엠은 이달 초 2015년 말까지 유럽에서 쉐보레 브랜드를 철수시킨다고 밝혀 쉐보레를 생산하는 한국지엠 군산공장 철수 논란에 불을 붙였다.

이 같은 부산공장 물량 이전과 관련해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중국에 설립되고 있는 공장과 관련해 공식적으로 들은 것이 없다”며 “내년부터 닛산 로그 8만대, 전기차 4000대 생산으로 물량이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 시장이 커지면 르노그룹에 납품하는 협력업체에도 기회가 많아질 수 있어 긍정적”이라고 낙관했다.

반면, 이지만 연세대 교수는 “제조업을 운영하기에는 한국이 너무 고비용 사회가 돼 버렸다”며 “중국이나 러시아 같은 개발국과 비교해보면 인건비 부문에서만 중국과 7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등 한국 사회는 똑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 비용이 더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34,000
    • +0.85%
    • 이더리움
    • 5,247,000
    • -1.24%
    • 비트코인 캐시
    • 650,500
    • +0.93%
    • 리플
    • 726
    • +0.55%
    • 솔라나
    • 230,100
    • +0.61%
    • 에이다
    • 640
    • +2.4%
    • 이오스
    • 1,122
    • +0.09%
    • 트론
    • 159
    • -1.85%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50
    • +1%
    • 체인링크
    • 24,520
    • -3.77%
    • 샌드박스
    • 630
    • +2.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