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해임, 반당 반혁명 종파행위...물갈이 불가피

입력 2013-12-09 08:17 수정 2013-12-09 08: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장성택 해임

▲연합뉴스

장성택 실각설이 사실로 드러났다.

북한은 지난 8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열고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을 모든 직무에서 해임하고 당으로부터 출당·제명키로 결정했다.

조선중앙통신이 9일 발표한 '정치국 확대회의에 관한 보도'는 장성택에 대해 "장성택 일당은 당의 통일 단결을 좀먹고 당의 유일적 영도체계를 세우는 사업을 저해하는 반당반혁명적 종파행위를 감행하고 강성국가 건설과 인민생활 향상을 위한 투쟁에 막대한 해독을 끼치는 반국가적, 반인민적범죄행위를 저질렀다"라고 보도했다.

북한은 이번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장성택 일당'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주변인물들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 및 제거작업을 예고하고 있다.

아울러 노동당과 내각 등 북한 권력 지도부에서 장 부위원장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물들에 대한 후속 물갈이 조치가 대대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앙통신은 특히 "당의 방침을 공공연히 뒤집어엎던 나머지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명령에 불복하는 반혁명적인 행위를 서슴없이 감행하였다"고 밝혀 장 부위원장이 작년 12월 장거리 로켓 발사와 지난 4∼5월 개성공단 폐쇄과정에서 군부의 조치에 반대입장을 밝혀 충돌했을 것이라는 일부의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아울러 통신은 "장성택 일당은 사법검찰, 인민보안기관에 대한 당적 지도를 약화시킴으로써 제도보위, 정책보위, 인민보위 사업에 엄중한 해독적 후과를 끼쳤다"고 강조해 이번 갈등이 당 행정부와 조직지도부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됐을 것임을 암시했다.

이밖에도 중앙통신은 "장성택 일당은 교묘한 방법으로 나라의 경제발전과 인민생활향상에서 주요한 몫을 담당한 부문과 단위들을 걷어쥐고 내각을 비롯한 경제지도기관들이 자기 역할을 할 수 없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외에도 장 부위원장의 여성들과 부당한 관계, 해외도박장 출입 및 외화 사용, 마약 중독 등 자본주의 생활양식에 빠져 부정부패행위를 일삼았다고 강조했다.

장성택 해임을 접한 네티즌은 “장성택 해임, 김정은 체제 어떻게 될까”,“장성택 해임, 변화의 바람이 불려나”,“장성택 해임, 남과 북이 혼란스럽군”,“장성택 해임, 공개처형했으려나”라는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30,000
    • +1.51%
    • 이더리움
    • 5,319,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0.23%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1,200
    • -0.22%
    • 에이다
    • 633
    • -0.16%
    • 이오스
    • 1,145
    • +0.79%
    • 트론
    • 157
    • -1.88%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50
    • +0.53%
    • 체인링크
    • 25,200
    • -1.98%
    • 샌드박스
    • 643
    • +2.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