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제항공물류 강화 나선다

입력 2013-10-23 10: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7년까지 물동량 55만t·고용 4700명↑

정부가 국제항공물류를 강화, 2017년 처리 물동량을 지금보다 55만t 늘리고 고용인원을 4700여명을 추가로 확충한다.

국토교통부는 23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신규 국제항공 물동량을 창출하고 수출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항공물류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2016년 1단계 배후단지 입주율 100%, 2017년 항공화물 처리물동량 301만t, 2단계 배후단지 입주율 70%를 달성해 우리나라의 동북아 항공물류 허브로서의 기능을 확실하게 다지겠다는 각오다.

그 동안 대형국제공항, 대형 화물기·화주를 대상으로 하는 '기다림의 마케팅'이었다면 앞으로는 신흥국가, 중소형 화물기·화주 등 틈새시장을 개척하는 '찾아가는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국토부의 방안은 최근 세계경제 불황으로 위축되고 있는 국제항공 물동량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실제 올 3분기까지 항공화물 처리량이 총 257만90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줄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 수출입화물은 금액기준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 전체의 5분의 1을 차지하는데 이는 결코 적은 비중이 아니다"며 "경기 침체 등으로 항공사들이 적자를 큰 폭으로 보는 상황에다 휴대폰, IT 등 물류에서 농수산식품, 바이오 등의 비중이 늘고 있어 이에 대처하기 위해 이번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국제항공물류 강화방안'에 따르면 △물동량 창출 마케팅체계 조정 △국제항공물류 경영개선 △화물처리시설 확충 △항공물류 정보·보안체제 혁신 4개 분야로 돼 있다.

먼저 신규물동량 창출을 위해 기존 IT제품 위주에서 농수산품·생물·바이오제품 등 신선화물과 국제특송화물 등 신성장 품목을 유치할 수 있도록 시설확충, 사용료 완화, 찾아가는 마케팅 등 맞춤형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베트남 등 신흥국가의 화물 운수권 확보를 강화하고 중소형 화물 LCC(최대 18t)를 육성한다.

각종 인센티브도 강화한다. 항공사, 화물터미널·공항단지 입주업체에 토지임대료, 차량주차료, 항공기 착륙료 등을 한시적으로 감면하고 배후단지 투자확대, 물동량 증대 때 임대료 감면 등을 추진한다. 배후단지에는 글로벌 배송센터와 제조가공 기업을 집중 유치한다.

화물처리시설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저온유통시스템을 갖춘 신선화물 복합물류센터를 건립, 신선화물의 냉장·냉동보관이 용이하도록 지원한다. 또 특송화물 물류센터를 세워 현재 공항 밖에서 수행하고 있는 수입특송화물의 검사와 집배송을 공항 안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화물터미널을 재배치·확충할 계획이다.

업무시간 단축, 수출입대기시간 단축 등 항공물류흐름 또한 개선한다. 항공물류정보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이원화된 통관시스템(화물세관신고)과 항공물류시스템(공항시설사용신고)을 통합해 시간을 단축키로 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국제항공물류 강화방안이 추진됨으로써 “2017년까지 55만톤의 국제항공 물동량 증가와 4천7백여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되어, 인천국제공항이 여객 뿐만 아니라 화물에서도 허브공항으로서의 입지를 굳힐 것”으로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50,000
    • +0.23%
    • 이더리움
    • 5,331,000
    • +0.99%
    • 비트코인 캐시
    • 647,500
    • +1.33%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600
    • -0.56%
    • 에이다
    • 631
    • +0.96%
    • 이오스
    • 1,138
    • +0.26%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00
    • -0.7%
    • 체인링크
    • 25,860
    • +1.02%
    • 샌드박스
    • 624
    • +3.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