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이용 인허가 절차 3~4개월 빨라진다”

입력 2013-10-10 15: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부, 토지이용 인허가 절차 개선방안 발표

앞으로 토지이용 관련 인허가 절차가 간소화되고 기간 역시 3~4개월 가량 빨라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10일 국가정책조정회의를 거쳐 토지이용 인허가 과정에서 발생하는 국민들의 불편,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수요자 중심의 토지이용 인허가절차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박근혜 정부 출범과정에서 대통령 공약 및 국정과제에 포함된 사항으로 일반 국민들의 실생활이나 소상공인의 경제활동과 관계가 깊은 건축·개발행위 관련 인허가에 적용된다.

개선안에 따르면 국토부는 가장 먼저 인허가 일괄협의제롤 도입해 인허가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거쳐야 했던 많은 위원회 절차를 대폭 간소화 해 통합심의한다.

그동안은 3만㎡ 이상 개발행위 허가때는 기초지자체 협의(30일), 도시계획위원회 자문(20일), 유관기관 및 광역지자체 협의(60일) 등 협의기간만 약 110일이 소요됐지만 앞으로는 협의를 동시에 진행하는 일괄협의제도를 도입하고 시·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때 시·군·구 도시계획위원회 자문을 생략하도록 해 인허가 기간이 최소 60일 이상 단축되도록 했다.

아울러 개발행위 등 인허가 과정에서 도시·건축·교통 등 여러 위원회 심의를 거치는 동안 위원회 간 의견이 상충 또는 무리한 의견이 제시되면 지자체 등 인허가권자가 이들 위원회를 통합해 통합심의위원회를 운영하도록 했다.

국토부는 전체 인허가 기간이 3~4개월까지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는 또 인허가에 대한 예측성도 높였다. 앞으로는 관계기관 협의기한, 위원회 심의기한, 보완회수 등이 법령에 명시돼 언제 인허가가 완료될 수 있을지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인허가 과정에서 각종 지원서비스도 제공한다. 건축·개발행위허가를 받고자 하는 민원인은 앞으로는 지자체에 설치된 통합인허가지원센터(허가전담부서)를 통해 사전입지컨설팅, 온라인 시스템을 통한 정보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토지이용 인허가 절차 개선방안'은 수요자 중심으로 토지이용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며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연내 입법안을 차질없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단독 용역업체가 수익금 관리?…한국콘텐츠진흥원 '부외현금' 관행 적발
  • 게임 맛집 슈퍼셀의 야심작 '스쿼드 버스터즈'…"간단한데 맛있다"[mG픽]
  • 의료 파업, 국민 77.3%가 반대…"원인은 의사 기득권 지키기" [데이터클립]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단독 “호봉제 폐지”…현대차, 연구·일반직 임금체계 개편 재추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079,000
    • -0.82%
    • 이더리움
    • 4,811,000
    • -1.62%
    • 비트코인 캐시
    • 534,000
    • -6.4%
    • 리플
    • 678
    • -3.83%
    • 솔라나
    • 189,800
    • -3.8%
    • 에이다
    • 523
    • -5.25%
    • 이오스
    • 768
    • -9.75%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26
    • -6.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300
    • -9.33%
    • 체인링크
    • 18,940
    • -4.39%
    • 샌드박스
    • 428
    • -9.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