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5S-갤노트3-LG G2, 뭐가 더 좋을까?

입력 2013-09-11 20: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애플 아이폰5S

스마트폰 구입을 고려하고 있는 전 세계 소비자들이라면 행복한 고민에 빠질 듯 싶다. 쉽게 우위를 점할 수 없는 프리미엄 스마트폰들이 속속 공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애플은 10일(이하 현지시간)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본사에서 아이폰5의 확장 모델 아이폰5S를 공개했다. 이에 앞서 지난 4일 삼성전자는 독일 베를린에서 ‘모바일 언팩’을 열고 갤럭시노트3를 발표했다. LG전자도 지난 11일 독일 베를린에서 폐막한 IFA2013에서 전략 스마트폰 LG G2를 유럽 소비자들에게 선보였다.

먼저 삼성전자와 애플이라는 스마트폰 양대 산맥 간의 대결에 관심이 모아진다. 두 제품은 화면 사이즈에서 일단 큰 차이를 보인다. 갤럭시노트3는 대화면 5.7인치 슈퍼아몰레드를 탑재했다. 반면 아이폰5S는 전작과 같은 4인치 크기를 유지했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3.
스마트폰의 두뇌를 담당하는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갤럭시노트3가 엑시노스 1.9㎓ 옥타코어 또는 2.3㎓ 쿼드코어 퀄컴 스냅드래곤 800을 장착했다. 아이폰5S는 세계 첫 64비트 A7칩을 탑재해 전작 아이폰5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성능을 체감할 수 있다. 여기에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M7 보조칩을 내장했다. 다만 두 제품간에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두 제품은 펜 기능(갤노트3)과 지문인식 기능(아이폰5S)이라는 각각의 특징을 갖고 있다. 갤럭시노트3는 노트 시리즈 특유의 S펜을 탑재했다. 특히 화면 위에서 S펜의 버튼만 누르면 5가지 주요 기능을 활성화시켜 주는 ‘에어 커맨드’ 기능을 지원한다. 액션 메모, 스크랩북, 캡쳐 후 쓰기, S 파인더, 펜 윈도 등의 기능을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다.

아이폰5S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능 중 하나는 지문인식센서인 ‘터치ID’다. 터치ID는 홈버튼 아래에 숨겨져 있다. 아이폰5S의 홈버튼에 손가락을 터치하면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터치ID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아이템을 구매할 때 사용자 인증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LG전자 LG G2.

스마트폰 3위 LG전자도 전략 스마트폰 LG G2를 통해 선두권 도약을 노리고 있다. LG G2는 5.2인치 풀HD IPS LCD와 퀄컴 스냅드래곤 800을 탑재했다. 스마트폰 뒷면에 전원과 볼륨키를 위치시킨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사진 촬영 시 손떨림을 없애주는 ‘OIS 기능, 두 번 노크해서 화면을 켜는 ‘노크온’, 잠금패턴을 다르게 설정해 마치 2개의 스마트폰처럼 쓸 수 있는 ‘게스트 모드’ 등 유용한 UX도 탑재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90,000
    • +0.63%
    • 이더리움
    • 5,135,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606,500
    • -0.33%
    • 리플
    • 693
    • -0.29%
    • 솔라나
    • 212,200
    • +3.11%
    • 에이다
    • 590
    • +0.68%
    • 이오스
    • 923
    • -1.28%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41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200
    • -0.71%
    • 체인링크
    • 21,420
    • +1.71%
    • 샌드박스
    • 542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