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희 보라매병원장 “예방의료 소홀시 건보재정 파탄"

입력 2013-05-31 08: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만성질환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필요”

▲이철희 보라매병원장(사진=뉴시스)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진단과 치료 중심에서 예방과 관리로 패러다임이 바뀌지 않으면 건강보험 재정 파탄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철희 서울보라매병원장은 지난 28일 서울보라매병원 진리관에서 열린 제5회보라매포럼에서 ‘고령화시대 헬스케어 패러다임 변화(부제: 의료주권과 건강민주화)’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철희 병원장은 “2020년에는 건강보험 적자 규모가 17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통계가 있다”면서 “지금의 의료체계로 가다가는 공멸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모바일 헬스를 도입하면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환자의 진료 접근성도 높일 수 있어 의료의 권력이 많은 개인들한테로 이동하는 ‘건강민주화’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그는 강조했다.

헬스케어는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통신기기로 의사와 환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다. 예를 들어 센서를 부착한 스마트폰으로 혈압·체중 등 각종 건강정보를 측정한 뒤 의료진에 이를 송신하는 식이다. 최근에는 초음파까지 스마트폰에 부착해 자가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헬스는 병원을 찾지 않아도 돼 자기관리가 중요한 만성질환 환자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만성질환자들이 한번 병원에 방문할 때 드는 간접비용은 약 7만원이며 모바일헬스가 이 비용을 감소시켜 줄 것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만성질환의 비용은 많이 들어가는데 효율적으로 관리가 안 되는 것이 현재 보건의료시스템입니다.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하면 의료 질을 높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모바일 헬스로 인해 환자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 이 병원장은 “서울시 180만 인구 중 고혈압 진단을 받는 인구 80만 정도이며 그중 여러 가지 이유로 3분의 1만 치료를 받고 있다”면서 “헬스케어 서비스가 보편화되면 환자 규모는 4배 이상 늘어나고 시장의 파이가 커지므로 개원가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 병원장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만성질환은 국가에 엄청난 재정부담이 되고 있는데 기업이 직원들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건의료시장에서 해결을 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의 해결책으로 ‘사회적기업’ 역시 본보기가 될 수 있다. 그는 정부가 이들 기업에 대해서 ‘세제 혜택’을 줘 더욱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32,000
    • +0.03%
    • 이더리움
    • 5,207,000
    • -0.06%
    • 비트코인 캐시
    • 663,000
    • -0.45%
    • 리플
    • 699
    • +0.14%
    • 솔라나
    • 226,300
    • -0.31%
    • 에이다
    • 622
    • +0.81%
    • 이오스
    • 999
    • +0.81%
    • 트론
    • 164
    • +1.23%
    • 스텔라루멘
    • 139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100
    • +0.31%
    • 체인링크
    • 22,580
    • +0.53%
    • 샌드박스
    • 588
    • +0.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