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기업 M&A 성공 열쇠는‘실사’와 ‘PMI’”

입력 2013-05-08 17:44 수정 2013-05-22 14: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진출 미국계 로펌 폴 헤이스팅스 M&A전략 핵심적 요소 토론회

해외기업 M&A를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실사’와 ‘PMI(인수합병 후 통합관리)’ 를 꼽았다.

국내에 진출한 미국계 법률회사 폴 헤이스팅스는 8일 롯데호텔에서 아시안 센츄리 포럼을 열고 ‘성공적인 해외 M&A 전략의 핵심적 요소’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매튜 버거 폴 헤이스팅스 소속 변호사, 김새진 폴 헤이스팅스 소속 변호사, 스티븐 정(정승민) 삼일회계법인 상무, 조민재 HSBC 서울사무소 부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사회를 맡은 김새진 변호사는“M&A에서 가장 중요한 것 첫째도 실사, 둘째도 실사, 세째도 실사”라고 강조했다.

스티븐 정 삼일회계법인 상무는 “실사는 숫자(대차대조표)만 들여다보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업이 지역적으로 얼마나 분산됐는지, 수익원천은 어디인지, 매출처는 어떤 곳인지 다 들여다보는 것”이라며 “특히 글로벌 지역적 특성을 살려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상무는 인적자원(HR;human resource)에 대한 실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PMI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선 경영진 중 누굴 내보내고 잔류시켜야 하는지 결정을 해야 하는데 한국기업은 이 부분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패널들은 인수합병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려면 실사뿐 아니라 협상 후 통합관리에 신경을 써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 상무는 “PWC 컨설팅에서 M&A의 실패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체 거래의 20%는 전략 수립 부재, 15%는 너무 높은 인수가격이었고 65%가 PMI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인 것으로 조사됐다”며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PMI 경험이 없거나 과거 딜 경험이 있어도 PMI에 충분한 관심과 시간을 갖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정 상무는 해외 인수합병을 고려하는 쪽에서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피인수·인수기업 역할 명확히 할 것 △시너지가 여러 펑션부분에서 창출되도록 할 것 △문화 및 커뮤니케이션 장벽 조정 △강력한 조직구조 확립 △데이바이데이 플랜 세우기 등 5가지를 제시했다.

그는“한국 기업 저변에 흐르고 있는‘빨리 빨리’문화를 외국기업은 받아들이기 힘들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과 관심을 갖고 조직문화를 가꿔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명함이나 회사로고 교체 등 기본적인 것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사소한 것도 인수합병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32,000
    • +0.39%
    • 이더리움
    • 5,310,000
    • -0.6%
    • 비트코인 캐시
    • 644,000
    • -0.92%
    • 리플
    • 722
    • -0.82%
    • 솔라나
    • 228,300
    • -2.23%
    • 에이다
    • 625
    • -1.11%
    • 이오스
    • 1,121
    • -0.88%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850
    • -0.76%
    • 체인링크
    • 25,470
    • -1.39%
    • 샌드박스
    • 612
    • -0.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