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여전히 ‘찬밥’… 거래 살리자는 취지 무색

입력 2013-04-11 07: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1대책 발표 후 시장 ‘조용’… 중소형만 찾아

중대형 아파트들은 여전히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의 4·1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1주일이 지났지만 시장에서 중대형은 거래는 커녕 문의마저 끊겼다.

반면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중소형 아파트가 몰린 지역(뚝섬)에선 급매물이나 문의는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정부는 중대형 아파트 물량을 포함, 부동산 거래활성화를 위한 관련 대책을 발표했지만 시장은 무반응이다.

오히려 매도자들이 물건을 거둬들여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어 하루 빨리 양도세 감면 대책 등이 국회를 통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66㎡이하의 물량이 대부분인 서울 성수동의 한 부동산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중소형의 매매는 찾아 볼 수 없다”면서도 “임대쪽으로는 조금씩 거래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뚝섬 인근 타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도 “중소형 위주의 급매물 거래가 이뤄지고 있지만 중대형 물량의 거래를 아직까지 살아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대형 물량이 많이 공급된 분당과 용인에서도 대형 아파트의 거래는 찾아 볼 수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분당의 부동산 중개업자는 “정부가 거래활성화를 위해 대책을 내놨다고 하지만 거래는 오히려 자취를 감췄다”면서 “보다 강력한 세제혜택 등이 실시돼야 한다”고 밝혔다.

잠실 재건축 단지도 조용하다. 고급 대형물량이 거래되긴 하나 찾는 사람도 소수인데다 재건축 사업 시행에 대한 기대감으로 오히려 중소형물량의 호가만 오르고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중대형의 저가 매수가 이뤄지긴 하지만 적은 편이고 강남구와 서초구 등 고급 수요층이 많지 않아 대형 물량의 거래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안소형 닥터아파트 팀장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대형물량은 인기가 없다. 양도세 감면안이 아직 국회를 통과하지 않아 중소형 물량조차 혜택을 언제 받을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결국 중대형의 거래가 활성화 되려면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양도세 감면안부터 상임위를 통과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우물쭈물하다간 거래공백만 생겨 부동산경기를 더 악화 시킬 수 있다고 충고했다. 거래단절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 법안 통과가 지연되다 보면 각종 세제 및 금융 지원 혜택을 하반기에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함 센터장은 “정책은 타이밍이다. 국회에서 부동산관련 법안이 하루 빨리 통과돼야 하지만 늦춰질수록 시장 상황만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안 팀장은 “국회 상임위 통과가 지연되면 생기면 중소형 위주로 호가만 오르고 매도자의 관망세가 지속돼 거래 공백이 생긴다. 또 대형물량의 거래를 더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서울서만 36건 접수…강원·경북·충북서도 식별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50,000
    • +0.26%
    • 이더리움
    • 5,330,000
    • +0.64%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1.09%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500
    • -0.39%
    • 에이다
    • 634
    • +1.12%
    • 이오스
    • 1,140
    • +0.97%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1.51%
    • 체인링크
    • 25,700
    • -0.58%
    • 샌드박스
    • 628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