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엔저·기술격차 일본 공세에 ‘속수무책’

입력 2013-04-03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기업들이 지속되는 엔저 현상으로 적자 구조에 직면했다. 첨단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까지 갖춘 일본 기업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형국이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60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올해 사업 계획에 반영한 원·엔 환율 손익분기점은 현재 환율(1160.1원) 보다 높은 1185.2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주로 일본과 수출 경합 관계에 있는 분야에서 높게 조사됐다. 자동차 및 부품의 손익분기 환율이 1260.7원, 섬유(1200.0원), 철강(1198.3원), 기계·전기장비(1195.8원), 석유화학(1189.7원), 전자·통신기기(1166.7원) 등 순이었다. 반면 펄프·종이·가구(1158.3원), 식품(1148.1원), 비금속광물(1125.0원), 조선(975.0원) 분야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엔화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응답 기업의 수출액은 2.4%, 영업이익률은 1.1%p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액 감소폭이 큰 업종은 비금속광물(3.8%), 전자·통신장비(3.7%), 기계·전기장비(2.9%), 석유화학(2.7%) 등이다.

엔화 가치 하락에 따른 영업이익률 하락 폭이 가장 큰 업종은 식품업(2.6%p)으로 나타났다. 이어 전자·통신장비(1.5%p), 펄프·종이·가구(1.4%p), 석유화학(1.2%p) 등 순이었다. 조선업은 일본과 주력 선종이 다르고 일부 부품 수입 단가 하락 영향으로 영업이익률은 오히려 1.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는 국내 업체들의 해외 생산 확대, 부품 현지 조달 등 선제적인 대응으로 영업이익률 감소폭이 0.6%포인트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원·엔 환율의 하락 추세가 지속될 경우 기준 금리 인하 등 정부의 확장적 통화 정책을 강화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97,000
    • +0.35%
    • 이더리움
    • 5,114,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606,500
    • -0.33%
    • 리플
    • 692
    • -0.86%
    • 솔라나
    • 212,600
    • +3.25%
    • 에이다
    • 589
    • +0.34%
    • 이오스
    • 922
    • -1.71%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4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950
    • -0.92%
    • 체인링크
    • 21,350
    • +1.14%
    • 샌드박스
    • 542
    • -0.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