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들하던 녹색금융 재시동 건다

입력 2013-01-03 14: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유치… 신한·국민은, 환경부와 업무협약

은행권이 녹색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지원에 재시동을 걸었다.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발맞춰 시작한 녹색금융상품이 기대 이하의 실적으로 ‘무늬만 녹색금융’이라는 지적을 면치 못하면서 정부가 금융권에 녹색금융 확대를 독려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3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2009년 2월에 출시된 국민은행의 대표적인 녹색 금융상품 ‘KB 그린 그로스론(Green Growth Loan)’의 지난해 11월 기준 대출잔액은 1조3379억원(414건)으로 4년 동안의 실적이라고 하기엔 지원 규모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지난 2008년 11월 부터 판매를 시작한‘우리 그린솔라론’의 지난해 12월 27일 기준 실적은 637억원(98건), 2009년 3월과 9월에 각각 출시된 ‘우리 LED론’과 ‘우리사랑 녹색기업대출’은 141억원(16건), 294억원(60건)으로 3~4년이 넘는 기간 동안 총 1072억원(174건)을 지원하는데 그치며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하나은행의 ‘하나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적금’도 2010년 4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의 대출잔액이 1000억원(2만건)에 머무르며 전시용 상품으로 전락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MB정부의 녹색성장 기조 계승과 지난해 10월 유치가 확정된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유치 효과를 극대화하기로 약속하고 환경부도 녹색금융 활성화에 팔을 걷어 붙이겠다고 선언하면서 녹색 금융상품의 새바람이 기대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13일 신한은행은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녹색금융 확산 협약’을 체결, 녹색 금융상품 개발·지원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녹색금융지원 기업평가시스템 등을 통해 우량 녹색기업 발굴과 지원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KB국민은행도 지난해 12월 27일 환경부에서 지정한 ‘우수환경산업체’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하고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술보증기금과 함께 ‘우수 환경산업체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맺었다.

KB국민은행은 기존의 KB 그린 그로스론을 적극 활용해 우수 환경산업체에 대한 금리우대·적금이자율 우대·KB 와이즈 금융컨설팅 등의 다양한 금융지원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은행 한 관계자는 “태양광 등이 침체에 빠지며 녹색기업의 성장동력이 약해진 탓에 관련 금융상품이 반짝 인기에 그친게 사실”이라며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과 지속성을 유인할 요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09: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613,000
    • +0.12%
    • 이더리움
    • 5,018,000
    • +2.26%
    • 비트코인 캐시
    • 550,000
    • +0.09%
    • 리플
    • 695
    • +0%
    • 솔라나
    • 190,300
    • -1.86%
    • 에이다
    • 542
    • +0.37%
    • 이오스
    • 801
    • +2.17%
    • 트론
    • 164
    • +1.23%
    • 스텔라루멘
    • 132
    • +3.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00
    • +2.21%
    • 체인링크
    • 20,240
    • +2.58%
    • 샌드박스
    • 459
    • +3.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