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회사 10곳 중 4곳 자본잠식

입력 2012-12-03 08: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금융투자회사 10곳 중 4곳이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 자산운용, 투자자문 할 것 없이 경영난에 시달리는 가운데 특히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투자자문사의 자본잠식이 심각한 상황으로 분석됐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증권사, 자산운용사, 투자자문사 292곳 중 42.5%인 124곳이 자본잠식 상태를 기록했다. 증권사 61곳 중 9곳(14.8%), 자산운용사 82곳 중 34곳(41.5%), 투자자문사 149곳 중 81곳(54.4%)이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자본잠식은 적자 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면서 납입자본금을 까먹는 것을 말한다.

자본잠식인 증권사는 코리아알비(자본잠식률 53.7%), 비오에스(51.3%), 알비에스아시아(29.3%), 애플(27.9%), 바클레이즈캐피탈(22.0%), 한맥(20.3%), 한국스탠다드차타드(4.2%), 토러스(3.7%), IBK(0.7%) 등이다. 바로투자, 비엔피파리바는 가까스로 자본잠식을 피했다.

자산운용사 중 자본잠식률이 가장 큰 곳은 에스크베리타스로 74.9%였고 알지에너지자원(74.8%), 한주(67.2%), 프런티어(51.2%), 블랙록(47.5%), 아쎈다스(44.4%), GS(43.4%), 더커(42.5%), 알에이케이(42.3%) 순이었다.

투자자문사는 2곳 중 1곳 꼴로 자본잠식 상태였다. 리치(99.7%), 딜라이트(84.1%), 인포트(81.1%), 프리즘(79.0%), 메가마이다스(77.3%), 클로버(71.2%), 테멘(63.6%), 굿웰스(63.5%), 에스엠(63.5%) 등 19곳은 자본잠식률이 50%가 넘었다.

금융투자회사의 자본잠식은 유럽 재정위기를 겪으며 더욱 심각해졌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9월 말에는 금융투자회사 282곳 중 38.7%인 109곳이 자본잠식 상태였고, 이 가운데 증권사가 62곳 중 9곳, 자산운용사 81곳 중 31곳, 투자자문사 139곳 중 69곳이었다.

올해 상반기 전체 증권사의 당기순이익은 6746억원으로 작년 상반기(1조2414억원)보다 45.7% 줄었다. 자산운용사는 82곳 중 40.2%인 33곳이 적자였고 투자자문사는 149곳 중 69.8%인 104곳이 적자를 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3차 오물 풍선 살포에 모든 부대 휴일에도 비상근무
  • 은행권 자영업자 연체율 ‘경고등’…11년만에 최고
  • '그알' 태국 파타야 살인 사건, 피해자 전 여자친구…"돈 자랑하지 말랬는데"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정부, 9일 의협 집단휴진 예고에 총리 주재 대응방안 발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107,000
    • +0.3%
    • 이더리움
    • 5,211,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668,000
    • -1.47%
    • 리플
    • 700
    • -0.57%
    • 솔라나
    • 224,500
    • -2.22%
    • 에이다
    • 620
    • -1.59%
    • 이오스
    • 1,002
    • -2.43%
    • 트론
    • 163
    • +2.52%
    • 스텔라루멘
    • 140
    • -1.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400
    • -2.25%
    • 체인링크
    • 22,710
    • -1.26%
    • 샌드박스
    • 588
    • -4.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