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추천종목]대덕전자 - 수익성 개선과 성장동력 확보 - 한국투자증권

입력 2012-02-13 07: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단기 유망종목

△성광벤드 - 절대 수주량이 2008년 호황기보다 많고 실적개선으로 올해 EPS증가율이 105.8%에 달하기 때문에 주가 상승여력은 충분. 현재 수주잔고(1900억원)의 대부분이 상반기에 매출로 인식되고 2분기 신규 설비가 가동되면서 하반기 실적 개선세는 가속화될 전망. 대형제품 생산 효율성 증대와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에 따른 수익구조 개선 기대. 피팅산업이 과점적 구조이고 지금이 업황 사이클 상승 초입국면임을 고려하면 2013년 이후에도 사상 최대 매출액 경신이 이어질 전망

△네패스 - 삼성전자의 공격적인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 사업 수혜주로 WLP(Wafer Level Packaging) 영업이익 비중(연결)은 2010년 26%에서 금년에는 50%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 4분기 실적은 예상보다 다소 부진할 것으로 보이나, 스마트기기향 물량 호조로 3분기 대비로는 개선 예상. 삼성전자의 공격적인 시스템LSI 투자,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확대 등에 힘입어 실적 개선 모멘텀은 지속될 전망

△LS - 주력 자회사들의 제련 및 외환이익에 따른 4분기 흑자전환 및 2012년 턴어라운드 기대 유효. LS니꼬동은 구리가격 반등에 힘입어, LS엠트론은 전자부품 부문의 호조로 실적 개선 추세 지속 예상. LS산전과 LS전선의 보유 부동산 매각에 따른 현금 유입 가능성과 전력산업 및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 가능성 주목할 필요

△한국콜마 - 안정적인 화장품 사업의 성장세 및 공정수탁 확대, 신제품 출시에 따른 의약 사업의 약진에 힘입은 실적 개선세 지속 전망. 2010년 11월부터 본격 가동한 북경콜마(지분율 100%)는 2012년 매출액 약 150~180억원을 시현하며 손익분기점(130억원)을 무난히 넘어설 전망. 의약/화장품 사업의 안정성, 선바이오텍 등 우량 자회사들의 실적 성장세 및 경쟁사 대비 밸류에이션 매력 등을 감안할 때 상승 여력 상존

△대덕전자 - 모바일 DRAM 및 NAND 기판에 사용되는 CSP(Chip Scales Package) 출하량 확대에 힘입어 실적 개선 모멘텀 지속 전망. 삼성전자 스마트폰 출하량 확대에 따른 모바일 메인보드 기판(HDI; High Density Interconnection) 매출 증가뿐만 아니라 통신사들의 LTE 도입에 따른 장비 확충으로 MLB(Muti Layer Board) 또한 견조한 수주 모멘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2012년 상반기 중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용 기판인 FC-CSP(Flip-Chip Chip Scales Package) 양산으로 수익성 개선과 함께 성장동력 확보 기대

△이노와이어 - 4분기 실적 개선 모멘텀 예상.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들의 LTE 투자경쟁은 한층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여 시험 및 계측장비에 대한 수요는 안정적으로 지속될 전망. 신규 통신망 투자가 진행된 이후에도 단말기 제조업체향 계측장비 생산을 통해 추가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업체 Agilent와의 장기계약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 및 수익 확보도 가능할 전망. 내년 이통사들의 LTE 전국망 구축 등을 감안할 때 2012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금년 대비 각각 40%, 30% 이상 증가한 750억원, 130억원으로 예상됨

△신규종목 - 없음

△제외종목 - 없음

◇중장기 유망종목

△CJ CGV - 4분기 실적은 예상보다 다소 부진할 것으로 보이나 3D 영화 개봉, 1월 영화 관람객수 증가 등을 고려할 때 1분기 실적은 개선세를 보일 전망. 좋은 위치 선점과 3D 등 차별화된 시설에 기반한 견고한 시장 점유율을 감안할 때 국내 매출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중국법인 등 자회사들이 적자를 시현하고 있지만 해외 시장의 성장 잠재력 감안하면 자회사의 가치를 인정할 필요

△영원무역 - 가격경쟁력으로 인한 방글라데시 OEM 수요 확대와 Seller’s market 형성에 따른 구조적인 성장 스토리에 주목할 필요. 선진국 및 중국의 아웃도어 의류 시장의 고성장세에 따른 수혜 및 니트 의류 및 신발/가방으로의 사업 다각화로 실적 안정성은 강화될 전망. 2011년 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해외 자회사들의 수익성이 개선에 힘입어 전년대비 1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정

△엔씨소프트 - 4분기 실적 부진, 블레이드앤소울 등의 출시 지연에 따른 우려는 주가에 선반영된 상태. 블레이드앤소울의 출시시기 지연은 기업가치를 변화시키는 요소는 아님. 블레이드앤소울 3차 CBT 실시 후 곧바로 OBT/상용화될 예정으로 성장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한 상태. 블레이드앤소울·길드워2 등의 순차적인 해외 상용화와 성공 가능성을 감안할 때 기업 가치 개선 흐름은 안정적으로 지속될 전망

△서흥캅셀 - 증설 이전으로 인한 하드캡슐 매출 증가(+30% YoY)와 F&P(Food & Pharmaceutical) 부문의 성장세를 감안할 때 2012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700억원(+16% YoY), 290억원(+26% YoY)로 예상. 2011년 4월 미국의 화이자 제약회사가 계열회사인 캡슈겔(캡슐 전문 회사로 세계 시장 점유율 50% 추정)을 사모펀드 회사(KKR)에 매각해 수출 여건 또한 우호적인 상황. 2012년 예상 EPS 기준 PER은 7.6배로 최근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추가 상승 여력 상존

△넥센타이어 - 평균 판가가 상승하는 가운데 천연고무가격 급락으로 원자재 투입단가는 하락하고 있어 수익성 회복 가속화 예상. 지난 7월 중국공장의 연간 생산능력 확대(600만본→800만본)에 이어, 내년 3월 창녕 국내 제2공장의 상업생산 시작에 따른 성장성 모멘텀 부각 가능성. 설비증설 효과, 브랜드 인지도 개선, OE(Original Equipment) 물량 증가, UHPT(Ultra High Performance Tire) 비중 증가세 등 사업환경의 구조적인 변화를 주목할 필요

△기아차 - 신흥시장 매출 비중 확대, ‘Value Car’ 이미지 강화, 디자인 혁신, 원화약세 등을 감안할 때 안정적인 성장기조 지속 전망

△일진디스플레이 - 삼성전자 내 터치패널 공급업체 중 중대형 터치스크 부문에서 경쟁우위 확보. 갤럭시탭2 출시,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 등으로 3분기 실적 개선 모멘텀 예상

△신규종목 - 없음

△제외종목 - 없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841,000
    • +0.08%
    • 이더리움
    • 5,030,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609,500
    • +1.08%
    • 리플
    • 693
    • +2.06%
    • 솔라나
    • 204,300
    • +0.1%
    • 에이다
    • 584
    • +0%
    • 이오스
    • 933
    • +0.43%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3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700
    • -1.34%
    • 체인링크
    • 20,940
    • -1.69%
    • 샌드박스
    • 542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