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올해 할인점 키워드 ‘브레이크’

입력 2011-11-29 07: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대형마트 업계는 지속되는 불황과 다양한 규제속에 해외소싱 및 PL 상품 개발 등 차별화 정책 강화를, 소비자는 고물가로 인해 소비에 제동이 걸리는 브레이크(Brakes)형으로 대표되는 절약형 소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는 전국 137개 점포, 2억5000만명에게 판매된 2698가지 상품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올해 할인점 키워드는 Brake(제동걸린 유통家), Replacement(대체소비확산), Abnormal climate(이상기후), Korean wave(한류열풍), Economy(저가 상품 불티), Small family(소형가구 확산)로 분석된다고 29일 밝혔다.

우선 대형마트의 입장에서는 각종 규제 강화로 신규 개점이 둔화했고 기업형 슈퍼마켓(SSM) 확대에 제동이 걸린 한해였다. 실제로 이마트는 올해 10월까지 총 4개의 점포를 개점해 최근 5년 사이 가장 적은 수의 점포를 개설했다.

유럽에서 촉발된 경제 위기로 생긴 불안심리와 고물가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가격이 올라간 상품의 소비는 줄어든 대신 가격이 저렴한 해외소싱 상품과 PL상품의 소비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갈치와 고등어, 삼겹살 등 국산 수·축산물의 가격이 상승하자 노르웨이 고등어와 벨기에·캐나다산 돈육이 식탁을 차지했다. 쓰나미로 촉발된 일본 원전 사고와 길어진 장마, 폭우 등이 비정상적인 기후도 마케팅에 상당한 영향을 줬다.

방사능 물질이 국내에 유입될 것이라는 불안에 방사능을 없애주는 요오드 성분이 천일염에 많다는 소문이 돌아 소금 품귀 현상이 생기는가 하면 여름에 아이스크림과 선풍기, 에어컨 판매가 부진했고 우산과 제습제가 작년보다 각각 46.5%, 35.1% (7·8월 기준) 잘 팔렸다.

한류 열풍은 유통업체에 기회로 작용했다. 중국인의 단골 선물 상품인 김과 김치 등이 중국 연휴인 국경절이 낀 10월에 작년의 2배 이상 팔렸다.

전반적으로 고물가와 불황은 저가 상품의 인기로 이어졌다. 주문자 생산방식으로 도입한 이마트 TV는 3일 만에 준비한 물량 5000대가 동났고 예약 주문이 5000대에 달했으며 일반 커피 전문점보다 싸게 준비한 이마트 원두커피도 인기를 누렸다.

1∼2인으로 구성된 소규모 가구가 늘면서 간편식이나 소형 가구 소비가 눈에 띄게 늘었다.올해 이마트에서 2인용 가구의 판매비는 24.3%로 4인용의 비율을 추월했으며 1∼2인용 가구의 합계가 48.3∼에 달했다. 간편식은 국이나 탕, 찌개 등이 위주에서 벗어나 냉면이나 칼국수, 파스타까지 인기를 끌며 시장이 확대됐다.

김진호 이마트 프로모션 팀장은 “올해는 유럽발 경제위기와 물가의 고공행진으로 소비 위축이 심화되어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춘 상품을 찾아 소비하는 합리적 소비 추세가 뚜렷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80,000
    • -0.49%
    • 이더리움
    • 5,292,000
    • +1.44%
    • 비트코인 캐시
    • 638,000
    • -1.85%
    • 리플
    • 725
    • +0.28%
    • 솔라나
    • 232,500
    • +0.35%
    • 에이다
    • 626
    • +0.64%
    • 이오스
    • 1,142
    • +1.51%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17%
    • 체인링크
    • 25,700
    • +3.67%
    • 샌드박스
    • 608
    • -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