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 3개월 연속 감소…수도권도 감소세

입력 2011-10-20 11:00 수정 2011-10-20 11: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 9월 전국 미분양 주택수가 3개월째 감소했다. 전달 미분양 주택수가 증가했던 수도권도 감소세로 전환됐다.

20일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국 미분양 주택수가 6만8039가구로 전월(6만8593가구) 대비 554가구(-0.8%)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7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수도권은 전월(2만6394가구) 대비 351가구 감소한 2만7283가구로 1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경기 광주 등 일부지역에서 신규 미분양이 발생했으나, 다수의 경기도에서 기존 미분양이 해소됐기 때문이다.

지방도 전월(4만959가구) 대비 203가구 감소한 4만756가구로 나타나 3개월 연속 감소했다. 경남 전남 충남 등 일부지역의 신규 미분양이 늘었으나, 업계 분양가 인하와 주택거래 증가 등으로 준공후 미분양 주택을 포함한 기존 미분양이 감소한 까닭이다.

규모별로는 중대형 미분양이 줄고, 중소형은 늘었다. 전체 미분양 주택중 85㎡ 초과 중대형은 4만2235가구(수도권 1만8577가구, 지방 2만3658가구)로 전월(4만3536가구) 대비 1301가구(수도권 -167가구, 지방 -1134가구) 감소했다. 이에 반해 85㎡ 이하는 2만5804가구(수도권 8706가구, 지방 1만7098가구)로 전월(2만5057가구) 대비 747가구 증가했다.

이는 지난달 소형주택 위주(91%)로 신규분양이 이뤄지면서 소형주택의 신규 미분양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주택은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월(3만6367가구) 대비 1881가구(수도권 38가구, 지방 -1919가구) 감소한 총 3만4486가구(수도권 9782가구, 지방 2만4704가구)로 3개월 연속 줄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미분양 주택 감소세에 대해“임대사업자 세제지원 요건 완화, 전세수요의 매매 전환과 업계의 분양가 할인 등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지난 14일부터 수도권내 매입임대사업자 세제지원(8.18대책)이 본격 시행됨에 따라 미분양 주택 구입을 통한 전월세주택 공급이 늘어나 전월세시장 안정과 미분양 주택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일주일만 팝니다"…유병자보험 출시 행렬에 '떴다방' 영업 재개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09: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78,000
    • -0.68%
    • 이더리움
    • 5,237,000
    • -1.71%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61%
    • 리플
    • 729
    • -0.55%
    • 솔라나
    • 234,500
    • +0.43%
    • 에이다
    • 628
    • -0.95%
    • 이오스
    • 1,122
    • +0.09%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500
    • -0.63%
    • 체인링크
    • 25,660
    • +0.08%
    • 샌드박스
    • 620
    • -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