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급등으로 수입식품 물가 ‘껑충’

입력 2011-10-02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원-달러 환율의 가파른 상승으로 수입식품 물가가 오르면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1일 달러당 1062원이던 환율이 같은 달 26일 1193원까지 오르면서 수입 포도와 파인애플, 블루베리, 키위 등 수입 신선식품 물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입 포도와 파인애플, 블루베리, 키위 등 보관 기간이 짧은 신선식품의 경우 이미 일선 유통매장 판매가가 9월 초 대비 평균 10% 가량 인상됐다.

수입 포도(800g 팩 기준)의 경우 지난달 초 5800원에서 지금은 6500원으로 12% 가량 올랐다.

대표적 수입 과일인 바나나는 2~3주 정도 숙성보관 후 판매가 되는 상품 속성상 아직까지 가격이 오르지는 않았지만 10월 중순 이후에는 환율상승 여파가 미칠 전망이다.

특히 물가 안정을 위해 8~9월 두 달간 한시적으로 할당관세가 적용됐던 바나나와 파인애플은 이르면 10월 중순 이후부터 할당관세가 폐지될 예정이어서 환율상승과 함께 관세율(30%)까지 더해지면 큰 폭으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바나나는 한송이(2.5kg) 기준으로 현재 4000원에서 5000원 이상으로, 파인애플은 한통당 3000원에서 4000원 이상으로 뛸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육류의 경우 대부분의 유통업체들이 재고물량을 상당분 확보하고 있어 당장 가격이 오르지 않겠지만 환율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1~2개월 후에는 10% 내외 상승할 전망이다.

가공식품 역시 기존 재고 보유분과 보통 90일 단위로 이뤄지는 어음거래 등을 통해 당장 가격인상이 이뤄지진 않겠지만 2~3개월 후에는 밀가루와 식용유, 통조림, 설탕, 세제, 분유, 화장지 등 주요 가공식품에 대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환율 상승세가 워낙 가팔라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한 수입물가 오름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며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장바구니 물가에 상당한 부담을 줄 전망"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무용가 이선태, 마약 투약 및 유통…'댄싱9' 다시보기 중단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09:1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52,000
    • +1.04%
    • 이더리움
    • 5,208,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646,000
    • -0.23%
    • 리플
    • 722
    • -0.96%
    • 솔라나
    • 231,600
    • -1.19%
    • 에이다
    • 620
    • -1.27%
    • 이오스
    • 1,123
    • +0.09%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00
    • -0.35%
    • 체인링크
    • 24,800
    • -3.39%
    • 샌드박스
    • 608
    • -1.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