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출마 움직임에 與 “올 것이 왔다”

입력 2011-09-23 11:00 수정 2011-09-23 16: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PK 민심 결집이 관건… 표의 확장성 손학규보다 크다”

김두관 경남도지사의 차기 대선 출마 움직임이 전해지자 정치권이 숨죽인 채 긴장에 들어갔다.

김 지사는 그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오면”이란 전제를 달았다. 상황 변화에 따른 일종의 수동적 자세였다. 도민의 열망으로 50년 만에 이룬 지역 정권교체에 대한 부담이 무엇보다 컸다는 게 측근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그런데 최근 출마 결심을 굳히고 사전 준비에 착수하는 등 능동적 자세로 선회했다. 손사래만 치기에는 주위의 강권이 너무도 직접적이었고 희생을 전제한 권력의지 또한 확고해졌다는 게 측근들의 설명이다.(본지 22일자 4면 단독보도 참조)

22일 김 지사의 변화된 기류가 전해지자 여야 지도부를 포함, 유력주자들 진영은 사실관계 여부를 확인하느라 분주했다. 아직은 가시화된 상황이 아니라 안도의 한숨을 내쉬면서도 김 지사가 몰고 올 변화를 감안해 밑그림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주를 이뤘다.

한나라당 친박계 한 핵심의원은 23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재차 사실 여부를 확인한 뒤 “어느 정도 예상은 했다. 올 것이 온 것 아니겠느냐”며 “문재인에, 안철수에, 김두관까지 머릿속은 한층 복잡해졌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의 대중성은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영남의 친박계 중진의원은 “문재인과 김두관의 결합이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라며 “만약 두 사람이 사전 교감을 갖고 일을 진행하는 거라면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친이계의 한 의원은 “이미 박근혜 대세론은 흔들리고 있다. 안도해선 안 된다”면서 “야권이 경쟁구도로 언론과 대중의 관심을 한데 모을 수 있는데 반해 우리는 (경쟁이) 너무도 취약하다”고 말했다.

김현철 여의도연구소 부소장은 기자에게 “문재인, 김두관 등 PK(부산·경남) 인사들을 주목해야 한다고 끊임없이 말해왔다”면서 “흔들리는 PK 정서를 능동적으로 대변하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특히 “손학규 민주당 대표 등 수도권 인사보다는 표의 확장성이 훨씬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치평론가 고성국 박사는 “문재인 이사장에 비해 김 지사는 다양한 측면에서 여러 차례 검증을 거쳤다”면서 “당장 야권주자들의 지지도 순위가 뒤바뀌는 등 굉장히 큰 변화가 뒤따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PK 민심을 결집시킬 수 있다면 판은 확연히 달라질 것”이라면서도 “승부를 걸겠다고 확신했다면 지사직까지 걸어야 하는데 한 템포 빠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 비밀번호가 털린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인질 4명 구출”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66,000
    • +0.03%
    • 이더리움
    • 5,200,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666,000
    • -1.84%
    • 리플
    • 698
    • -1.27%
    • 솔라나
    • 223,200
    • -3.08%
    • 에이다
    • 615
    • -3.15%
    • 이오스
    • 993
    • -3.12%
    • 트론
    • 163
    • +1.88%
    • 스텔라루멘
    • 139
    • -2.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400
    • -3.93%
    • 체인링크
    • 22,510
    • -2.55%
    • 샌드박스
    • 580
    • -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