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상장사 부채비율 5곳 중 1곳 위험수위

입력 2011-08-28 1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소기업들의 부채비율이 위험수위에 다다르는 등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에 따르면 반기 보고서를 제출한 12월 결산 상장사 660곳(유가증권시장) 중 작년과 비교 가능한 469곳을 조사한 결과, 부채총액이 94조357억원으로 지난해 말의 88조7801억원보다 5.9% 늘었다.

자본총계는 106조6137억원에서 110조269억원으로 3.4% 증가했다.

이에 따라 부채비율은 지난 6월 말 85.3%로 작년 말의 83.3%보다 2.0%포인트 상승했다.

이번 분석에는 자산 규모 2조원 이상의 연결재무제표 제출 대상 기업 164곳 등 191곳은 제외됐다.

부채비율에서 기업별 양극화는 심해졌다.

분석대상 기업 중 시가총액이 1조원을 넘는 25개 기업의 부채총계는 16조639억원이다. 지난해 말 14조8428억원보다 8.2% 늘었다. 자본총계는 25조3983억원에서 26조3827억원으로 3.9% 증가했다.

부채비율은 58.4%에서 60.9%로 소폭 상승했다.

그러나 시가총액 500억원 미만 144개사의 부채액은 13조368억원으로 6개월 전의 12조3615억원보다 5.5% 늘었다. 자본총계는 9조9648억원에서 9조7265억원으로 2.4% 줄었다.

부채비율은 134.0%로 6개월 전의 124.1%보다 9.9%포인트 올라갔다. 시가총액 1조원이상 기업들의 부채비율 60.9%와 비교하면 2배가 넘는다.

144곳 중 부채비율 200% 이상 기업은 30곳으로 20.8%를 차지했다. 5곳 중 1곳이 위험수위에 도달한 셈이다.

건설사들의 부채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분석대상 건설업체들의 평균 부채비율은 6월 말 현재 448.6%로 작년 말의 399.7%보다 48.9% 포인트 올라갔다.

운수창고(155.6%), 운수장비(148.8%), 유통(136.1%). 종이목재(132.5%) 등도 부채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에 의료정밀(49.3%), 서비스(61.2%), 전기가스(69.6%), 의약품(82.1%), 화학(82.3%) 등 업종의 부채비율은 비교적 낮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이어 첸백시까지…'분쟁'으로 바람 잘 날 없는 가요계 [이슈크래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850,000
    • -4.09%
    • 이더리움
    • 4,898,000
    • -5.22%
    • 비트코인 캐시
    • 620,000
    • -6.2%
    • 리플
    • 676
    • -4.11%
    • 솔라나
    • 209,000
    • -7.85%
    • 에이다
    • 594
    • -5.26%
    • 이오스
    • 952
    • -4.7%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7
    • -2.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850
    • -8.59%
    • 체인링크
    • 21,130
    • -6.63%
    • 샌드박스
    • 552
    • -6.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