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노조 “지분 블록세일 해야”

입력 2011-06-07 12: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금융 노조가 메가뱅크가 아닌 독자민영화를 위해 지분을 블록세일(대량매매)해야 한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임혁 우리은행 노조 위원장은 7일 “현재 57%인 정부 지분을 내년 연말까지 10%씩 세차례 정도 블록세일을 하면 정부 지분이 27%까지 낮아진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이날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메가뱅크 저지 및 독자생존 민영화 쟁취’ 우리금융 노조 공동기자회견에서 “우리은행의 주가가 저평가 되는 것은 정부가 경영을 좌지우지해 책임경영이 안되기 때문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자율경영과 책임경영이 담보되면 주가는 상승하고 경영권 프리미엄도 반영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록세일은 동일한 가격을 수락한 투자자들에 지분을 넘기는 형태다. 노조협의회는 “우리금융은 지난번 컨소시엄을 통해 10조원 이상을 모은 만큼 지분 30% 규모를 모으는 것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금융지주사법 시행령 개정은 산은금융에 대한 특혜라고 지적했다.

임 위원장은“시행령 개정을 통해 소유지분을 50%까지 낮추는 것은 아무나 사고 팔수 있는 개악이다”며 “정부가 산은금융지주에 특혜를 줬다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시행령 개정을 공식적으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광주, 경남은행과, 우리투자증권을 일괄 인수한 후 경영상의 이유로 분리 매각할 경우 5조원을 충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영권 프리미엄 30%를 가정하더라고 자기자금 5조원 정도만 있으면 우리금융지주를 인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임 위원장은 “광주, 경남은행과 우리투자증권을 일괄 인수한 후 나중에 분리 매각한다면 이는 손 안대고 코 푸는 인수 방안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산은이 우리금융을 인수할 경우 주채무계열에 대한 독과점 문제도 지적했다.

임 위원장은 “두 금융지주가 합치면 70%인 23개의 주채무계열의 여신을 담당한다”며 “금융소비자인 기업과 서민에게 금융의 빈익빈 부익부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노조는 오는 22일 서울광장에서 메가뱅크 반대를 위한 촛불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공동기자회견에는 우리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우리투자증권, 우리파이낸셜, 우리아비바생명, 우리에프아이에스 등 7개 계열사 노조가 참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속보 文 정부 종부세법…헌재 “합헌” 결정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16,000
    • -0.14%
    • 이더리움
    • 5,209,000
    • -2.12%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1.23%
    • 리플
    • 721
    • -1.23%
    • 솔라나
    • 231,100
    • -3.18%
    • 에이다
    • 621
    • -2.36%
    • 이오스
    • 1,107
    • -1.95%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8
    • -1.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00
    • -1.44%
    • 체인링크
    • 25,490
    • +0.39%
    • 샌드박스
    • 608
    • -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