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적합업종 신청에 식품기업 "그간 노력 물거품"

입력 2011-05-31 07: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동반성장위원회가 신청을 받은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다양한 식품 품목이 대거 포함되자 식품 대기업들은“예상은 했으나 안 들어간 품목이 없다”며 일제히 우려를 나타냈다.

위원회에 신청된 김치·간장·된장·고추장·두부·탁주·녹차·콩나물 등은 CJ제일제당과 대상, 풀무원 등 식품 대기업들이 일찌감치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품목이다.

이들 기업은 동네 상인들이나 각 가정이 이런 품목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먹던 시절부터 연구·설비에 투자하며 사업을 키워온 만큼, 하루 아침에 중소기업만 사업을 해야 할 품목으로 선정된다면 그동안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면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고추장, 된장, 김치, 두부, 콩나물 등 대부분 품목에 대한 사업을 벌이고 있는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중소기업 입장도 중요하지만, 식품 생산과 유통 과정상의 안전 및 위생, 소비자 편의성에 대기업이 기여한 측면을 무시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기업이면서 기존 중소기업이 점유한 시장에 뛰어든 것이 아니라 해당 업종을 기반으로 성장해 중소기업에서 졸업한 중견 기업은 주력 업종에서 배제되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할 일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27년 전 두부로 출발해 두부시장 50% 이상을 점유한 풀무원 관계자는 “10명도 안 되는 직원들이 수 천개 두부업체와 경쟁해 성장했다”며 “두부가 포함된다면 대기업의 문어발식 확장을 제한하려는 동반성장의 취지에도 맞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장류, 연식품류는 최근 해외 수출이 점차 늘고 있는 상황이라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선정되면 정부가 앞장서 추진 중인‘한식 세계화’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중국 베이징 포장두부 시장 70%를 우리 제품이 점유할 정도로 수출도 활발히 하고 있는데, 국내에서 사업을 하지 않으면서 수출만 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은 지침인 만큼 예전 중소기업 고유업종처럼 법적인 강제성은 없지만, 동반성장위원회의 대기업 동반성장지수 평가에 반영될 수 있고 사회적인 시선도 무시할 수 없어 기업들은 속을 끓이고 있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중기 적합업종에 선정된다고 해서 법적 강제성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으로서는 엄청난 부담인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73,000
    • +0.09%
    • 이더리움
    • 2,308,000
    • -0.09%
    • 비트코인 캐시
    • 481,400
    • +0.25%
    • 리플
    • 3,015
    • -0.92%
    • 솔라나
    • 195,400
    • +0.98%
    • 에이다
    • 893
    • -0.45%
    • 이오스
    • 907
    • +2.37%
    • 트론
    • 354
    • -0.84%
    • 스텔라루멘
    • 354
    • +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110
    • +1.96%
    • 체인링크
    • 18,220
    • +0.77%
    • 샌드박스
    • 381
    • +6.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