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고용지표 호조ㆍ링크드인 IPO 대박에 상승...다우 45.14P↑

입력 2011-05-20 06: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규 실업자 수 감소...링크드인, 상장 첫날 주가 두 배 이상 뛰어

뉴욕증시는 19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했다.

지난주 신규 실업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경기회복 기대가 커진 것이 증시 상승세를 이끌었다.

비즈니스 전문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링크드인의 기업공개(IPO)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것도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45.14포인트(0.36%) 상승한 1만2605.32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8.31포인트(0.30%) 뛴 2823.31을 기록했고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1343.60으로 2.92포인트(0.22%) 올랐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가 전반적으로 부진했으나 시장에서는 지난주 신규 실업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에 더 주목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 수는 전주 대비 2만9000명 줄어든 40만9000명으로 2주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수치는 전문가 예상치 42만명도 크게 밑돌았다.

주택과 소비, 제조업 등의 지표는 부진을 보여 경기회복 기간 중 일시적으로 침체되는 ‘소프트 패치’를 맞이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발표한 지난 4월 기존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0.8% 감소한 505만채로 시장 전망인 520만채를 밑돌았다.

필라델피아 지역의 제조업 경기를 나타내는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지수는 3.9로 전문가 예상치 20.0을 크게 밑돌고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시장조사업체 컨퍼런스보드의 4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 대비 0.3% 떨어져 전문가 예상치인 0.1% 상승을 벗어나고 10개월 만에 첫 하락세를 나타냈다.

링크드인은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인 45달러보다 두 배 이상 상승한 94.25달러에 마감했다.

링크드인은 SNS 중 첫 IPO로 페이스북과 그루폰, 트위터 등 향후 SNS 기업들의 IPO 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으로 여겨졌다.

업종별로는 링크드인이 109% 폭등했다.

인텔은 골드만삭스의 투자의견 하향 조정에 1.42%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61,000
    • +0.04%
    • 이더리움
    • 5,192,000
    • -1.46%
    • 비트코인 캐시
    • 651,500
    • +0.46%
    • 리플
    • 722
    • -1.37%
    • 솔라나
    • 230,400
    • -1.41%
    • 에이다
    • 625
    • -2.04%
    • 이오스
    • 1,107
    • -2.38%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00
    • -1.61%
    • 체인링크
    • 25,440
    • +0.36%
    • 샌드박스
    • 606
    • -4.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