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 EPS, LNG 복합화력발전소 착공식 개최

입력 2011-04-19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총 4600억원 투자, 400MW급 국내 최초 고효율 LNG복합화력발전소 건설

GS EPS는 19일 충남 당진군 송악읍에 위치한 발전소 건설 예정부지에서 3호기 LNG복합화력발전소 착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착공한 GS EPS 3호기 LNG복합화력발전소는 현재 GS EPS가 충남 당진군 부곡산업단지에 운영 중인 500MW급 LNG복합화력발전소 1, 2호기(총 1100MW급)에 이어 추가로 건설하는 400MW급 LNG복합화력발전소로, 약 44만명 정도의 신도시(성남시 분당구 규모) 인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착공 후 30개월의 공사기간을 거쳐 2013년 8월 준공 예정이며 약 4600억원의 투자비가 소요된다.

특히 이번 GS EPS 3호기 발전소에는 국내 최초로 60% 이상(LHV)의 높은 발전효율을 갖춘 지멘스의 H-Class 가스터빈이 시공되는데, H-Class 가스터빈은 세계 최고수준의 고효율 설비로 기존 복합화력발전설비보다 연료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온실가스 감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GS EPS는 이번 3호기 LNG복합화력발전소 건설과 해외발전 프로젝트 진출 및 신재생 에너지 사업 추진 등을 위해 올해 약 2000억원을 투자하는 등 2014년까지 약 8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GS EPS 이완경 사장은 이날 환영사를 통해 "GS EPS는 3호기 발전소 건설을 통해 한국의 대표적인 발전사업자로 성장해 나갈 것이며, 3호기 발전소는 기후변화 문제가 글로벌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함으로써 향후 기후변화 시대에도 대비하는 친환경 발전소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착공식에는 허창수 GS 회장, 허동수 GS칼텍스 회장, 서경석 ㈜GS 부회장, 이완경 GS EPS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 200여명이 참석했다.

◆용어 설명

△복합화력발전: 1차로 천연가스를 연소하여 가스터빈을 회전시켜 발전하고, 이후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열에 의해 생산된 증기로 스팀터빈을 회전시켜 2차 발전하는 방식을 말함. 연소된 천연가스로 2회에 걸쳐 발전하여 복합화력이라고 함.

△LHV(Lower Heating Value): 연료가 연소한 후 연소가스의 온도를 최초 온도까지 내릴 때 분리하는 열량인 고위발열량에서 수증기의 증발열을 뺀 것으로 발전기의 효율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준척도임.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4: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54,000
    • -0.36%
    • 이더리움
    • 5,244,000
    • -1.85%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61%
    • 리플
    • 730
    • -0.27%
    • 솔라나
    • 233,800
    • -1.23%
    • 에이다
    • 627
    • -1.72%
    • 이오스
    • 1,126
    • -0.44%
    • 트론
    • 154
    • -0.65%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600
    • -0.63%
    • 체인링크
    • 25,880
    • +2.25%
    • 샌드박스
    • 616
    • -2.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