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베일벗은 LG전자 스마트TV, '쉽고 편리한 사용자환경' 갖춰

입력 2011-01-0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 구축, 스마트TV에 최적화된 '매직모션 리모컨' 선봬

LG전자의 스마트TV가 베일을 벗었다. 초점은 ‘쉽고 편리한 사용자 환경’에 맞춰져 있다. LG전자는 누구나 편리하고 재밌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TV를 통해 세계 스마트TV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LG전자는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11’에서 2011년형 스마트TV 전략제품을 공개한다고 4일 밝혔다.

1월 국내 출시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해 올해 스마트TV 시장의 주도권을 잡는다는 방침이다.

CES에서 공개되는 LG전자의 스마트TV는 편리한 사용자 환경에 중점을 뒀다.

LG전자 관계자는 “LG 스마트TV는 사용자 친화적인 그래픽 사용자 환경(GUI)으로 고객 편의성을 극대화했다”며 “이를 통해 스마트TV의 다양한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남녀노소 누구나 복잡한 여러 단계의 화면을 거치지 않고 단 한번의 클릭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홈 데쉬보드(Home Dashboard)로 이름 붙여진 스마트TV의 GUI는 △실시간 방송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등 프리미엄 콘텐츠 △앱 스토어 △선호 채널 △추천 콘텐츠 등을 한 화면에 모두 배치했다. 스마트TV 플랫폼은 LG전자가 자체 개발한 ‘넷캐스트(NetCast) 2.0’이다.

스마트TV에 최적화된 새로운 조작 기기인‘매직모션 리모콘’도 선보인다. 매직모션 리모컨은 메뉴를 손쉽게 편집, 관리 할 수 기능 뿐 아니라 홈 키를 적용해 어느 화면에서든지 한 번의 클릭으로 시작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LG전자의 스마트TV에서는 유튜브, 맥스돔, 미국 프로야구(MLB)와 같은 최신 인기 콘텐츠 이용도 가능하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도 제공한다.

스마트 쉐어(Smart Share) 기능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과의 호환성을 갖췄으며 웹 브라우저 기능도 탑재돼 TV에서도 PC처럼 동일한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LG전자는 제품 출시와 함께 LG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선보이고 오락, 게임, 생활, 교육, 뉴스 정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권희원 LG전자 홈엔터테인먼트(HE)사업본부장은 “최고 수준의 사용자 편의성과 재미있고 실용적인 콘텐츠와 서비스를 갖춘 스마트TV를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겠다”며 “스마트 가전의 중심이 될 ‘스마트TV’의 표준을 제시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무용가 이선태, 마약 투약 및 유통…'댄싱9' 다시보기 중단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1:2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430,000
    • +1.36%
    • 이더리움
    • 5,237,000
    • -0.06%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15%
    • 리플
    • 723
    • -0.82%
    • 솔라나
    • 232,600
    • -1.19%
    • 에이다
    • 625
    • -0.79%
    • 이오스
    • 1,125
    • -0.44%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000
    • +0.58%
    • 체인링크
    • 25,130
    • -5.38%
    • 샌드박스
    • 609
    • -2.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