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2500억 투자 부산신항터미널 개장

입력 2010-06-22 1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간 200만TEU 물동량 처리...동북아 물류허브항으로 육성

▲22일 개장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간 현대상선 부산신항터미널
현대상선은 22일 '현대상선 부산신항터미널'개장식을 갖고, 운영에 들어갔다.

이로써 현대상선은 지난 2002년 부산 감만 및 자성대 터미널을 매각한 지 8년 만에 다시 부산에 자영터미널을 갖게 된 것이다.

이날 개장식에는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김성만 현대상선 사장을 비롯한 현대상선 임직원들과 정운찬 국무총리, 최장현 국토해양부 차관, 허남식 부산시장, 김태호 경상남도 지사 등 국내외 정·재계인사 및 주요 화주 1000여명이 참석했다.

현 회장은 개장식사에서 "1974년 부산에 첫 컨테이너 항만이 생긴지 36년만에 부산항이 세계 5대항만으로 거듭났다"며 "현대상선 부산신항터미널도 동북아물류의 허브, 세계의 중심항만이 되도록 최선을 다 할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상선 부산신항터미널은 현재 현대상선, 일본 MOL, 싱가폴 APL 등 TNWA(The New World Alliance) 소속 선사들을 비롯해 독일 하팍로이드(Hapag Lloyd), 프랑스 CMA-CGM 등 10여개의 선사들이 기항하고 있으며, 앞으로 적극적인 항만 세일즈를 통해 총 30여개의 선사를 유치해 동북아 중심 허브항만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상선 부산신항터미널은 신항 남컨테이너 터미널에 위치한 2-2단계 터미널로 지난 2006년부터 25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이날 개장한 것이다.

이 터미널은 안벽길이 1.15㎞, 총면적 55만㎡(16.7만평), 수심 17m로 1만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박 3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으며, 최첨단 항만기술 및 IT시스템 적용으로 높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먼저 선박이 항만에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인자동화 야드크레인 36기와 40피트 컨테이너 2개 또는 20피트 컨테이너 4개를 동시에 들어 올릴 수 있는 탠덤(Tandem) 크레인 11기를 도입했다.

특히 야드크레인은 무인자동화로 24시간 운영 돼 빠르고 안정적인 컨테이너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화 게이트를 설치, 터미널을 오고가는 컨테이너 트럭 입·출입 시간을 최소화해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터미널 내에 On-Dock 서비스와 수리장, 세척장, CFS 운영 등 최고의 복합물류 항만서비스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시설 때문에 현대상선 부산신항터미널은 부산항에서 단일 선사로서는 가장 많은 연간 200만TEU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게 됐다.

한편 현대상선은 미국의 WUT(Washington United Terminal), CUT(California United Terminal), 대만의 KHT(Kaohsiung Hyundai Terminal) 등 자영터미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부산신항터미널 개장을 기점으로 항만물류 사업을 새로운 신성장동력으로 키워나간다는 방침이다. 현대상선은 2013년 현대 로테르담 컨테이너 전용터미널 개장을 앞두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SM, '매출 10% 못 주겠다'는 첸백시에 계약 이행 소송…"법과 원칙대로"
  • 주식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후 내년 3월 31일 재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47,000
    • +0.26%
    • 이더리움
    • 4,939,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629,000
    • +0.32%
    • 리플
    • 686
    • +1.33%
    • 솔라나
    • 213,700
    • +0.23%
    • 에이다
    • 610
    • +1.84%
    • 이오스
    • 971
    • +0%
    • 트론
    • 163
    • -0.61%
    • 스텔라루멘
    • 140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950
    • +1.32%
    • 체인링크
    • 21,770
    • +1.11%
    • 샌드박스
    • 563
    • +0.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