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 우즈베키스탄과 소형차 생산 MOU 체결

입력 2010-02-11 11: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M대우, 설비 공급, 기술적 지원 및 부품 공급 예정

GM대우는 11일 제너럴 모터스(GM)와 우주베키스탄 정부 산하 자동차 제조그룹인 우즈아프토사노아트가 우즈베키스탄,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 및 CIS 등 신흥시장용 글로벌 소형차 생산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마이크 아카몬(Mike Arcamone) GM대우 사장과 루스탐 아지모프 (Rustam Azimov) 우즈베키스탄 제1부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GM측을 대표해 GM대우 상품기획부문 드웨넬 밀스(Dwenell Mills) 부사장과 우즈아프토사노아트의 유스포프(S. Yusupov) 부회장이 각각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GM과 우즈아프토사노아트의 우즈베키스탄 현지 합작 법인인 'GM 우즈베키스탄'은 신흥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소형차를 생산, 판매하게 된다. 현재 이곳에서는 GM대우로부터 부품을 공급 받아 다양한 차종을 시보레(Chevrolet) 브랜드로 생산, 판매하고 있다.

GM대우는 이번 GM과 우주베키스탄과 양해각서 체결로 소형차 생산에 필요한 설비 공급, 기술력 지원과 더불어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아지모프 우즈베키스탄 제1부총리는 "GM 우즈베키스탄을 통해 생산, 수출되는 우수한 제품들이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산업과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GM과 GM대우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에 힘입어 우즈베키스탄의 자동차 산업이 빠르게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카몬 사장은 "우즈베키스탄은 GM의 글로벌 브랜드인 시보레의 중앙 아시아 및 동유럽 생산의 중심이자 GM대우 신흥시장 수출 사업의 중요한 거점"이라며 "GM과 GM대우는 우즈베키스탄을 통해 신흥시장 공략을 가속화하는 한편, GM 우즈베키스탄에 선진 제품기술과 자동차 생산기술 등 전반에 걸친 지원과 협력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GM 우즈베키스탄은 지난 2008년 3월, GM과 우즈아프토사노아트의 25대75 지분 참여로 설립됐으며, 연산 25만대 규모의 아사카(Asaka) 조립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은 우즈베키스탄 내수시장 및 러시아, 인근 동유럽 국가 등에 판매되고 있다. GM대우는 지난해 GM 우즈베키스탄에 KD 19만9000대, 완성차 1800대를 수출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53,000
    • -0.05%
    • 이더리움
    • 5,009,000
    • -1.55%
    • 비트코인 캐시
    • 600,500
    • -0.66%
    • 리플
    • 722
    • +4.34%
    • 솔라나
    • 205,300
    • -2.19%
    • 에이다
    • 580
    • -1.19%
    • 이오스
    • 889
    • -3.89%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050
    • -1.22%
    • 체인링크
    • 20,670
    • -3.32%
    • 샌드박스
    • 492
    • -8.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