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 해양관리 위해 민-관 손잡았다

입력 2009-08-24 11: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해양부는 해양오염에 취약한 광양만 특별관리해역에 대하여 주민 및 전문가 참여형 통합관리를 위해 광양만 지역 5개 지자체, 어민대표, 산업체, 환경단체, 학계 등 25개 기관․단체를 포함하는 '광양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를 25일 발족한다고 밝혔다.

24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광양만 지역은 해수교환이 원활하지 않고 유역 내에 여수산업단지, 율촌산업단지, 광양제철소 등 대규모 산업시설이 위치하고 있어 해양환경오염에 취약한 지역이다.

국토해양부는 광양만의 해양환경개선을 위하여 해수면 131.37㎢와 해양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근 육역 334.56㎢를 포함해 '광양만 특별관리해역'(465.93㎢을 지난 2000년 지정해 관리해 왔다.

광양만 지역은 전남권의 광양시, 여수시, 순천시는 물론 경남권의 하동군, 남해군까지 총 5개 지자체와, 광양만경제자유구역청, 국가산업단지관리공단, 광양항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존재하고 있어 해역환경 관리의 상호협력 및 갈등관리가 필요한 지역이었다.

이번에 출범하는 '광양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는 지역 이해당사자의 자율적 운영을 특징으로 하며, 위원은 광양ㆍ여수ㆍ순천ㆍ하동ㆍ남해 등 5개 지자체와 직군(민ㆍ관ㆍ산ㆍ학)의 수적 균형과 개발과 보전 등 이해관계가 반영된 민간위원 등 약 30명 내외로 구성됐다.

협의회는 앞으로 광양만의 해양환경관리와 관련한 지역현안 합의 조정 기능과 함께 오염원 모니터링, 조사, 홍보 및 교육 등 광양만 환경관리에 필요한 과제 발굴 등 역할을 분담하여 실행해 나갈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광양만으로의 민관산학협의회 확대는 국토해양부의 민관산학 공동 참여형 해역관리 방식이 도입수준에서 확산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며 "향후, 광양만 민관산학협의회 활동은 협의를 통한 정책수립과 집행, 즉 민관 해양 거버넌스의 확산과 안착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 의대 증원 후 첫 수능 모평...'N수생' 역대 최다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유튜브에 유저 다 뺏길라" …'방치형 게임'에 눈돌린 게임업계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10: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72,000
    • +0.64%
    • 이더리움
    • 5,240,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646,000
    • -0.08%
    • 리플
    • 725
    • +0.28%
    • 솔라나
    • 230,200
    • +0.04%
    • 에이다
    • 639
    • +1.59%
    • 이오스
    • 1,115
    • -1.15%
    • 트론
    • 159
    • -1.24%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0.53%
    • 체인링크
    • 24,530
    • -3.61%
    • 샌드박스
    • 632
    • +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