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실트 오른 '러브버그', 언제 사라질까?

입력 2025-06-23 07: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러브버그’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출몰이 본격화되며 시민 불편이 커지고 있다. 동양하루살이(팅커벨)에 이어 또다시 날벌레가 대량 출몰하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실시간 트렌드에까지 오르며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러브버그 관련 민원은 2024년 한 해 동안 9296건으로, 2023년(4418건) 대비 두 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해 동양하루살이 민원은 240건에 그쳐, 러브버그가 시민 체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러브버그는 공식명칭 ‘붉은등우단털파리’로, 검은 몸에 붉은 가슴을 지닌 5~6mm 크기의 곤충이다. 암수가 엉덩이를 맞댄 채 날아다니며 머리카락, 피부 등에 달라붙는 습성 탓에 불쾌감을 유발한다. 러브버그는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급증하기 때문에 출몰은 장마 및 폭염과 연계되는 기후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올해는 이상 고온과 장마 양상에 힘입어 6월 중순부터 출몰됐고, 7월 초중순이 최대 활동 시기다. 실제로 민원이 가장 많이 접수되는 시점도 7월 초중순이며, 대부분의 러브버그는 8월 초~중순 사이 자취를 감춘다.

현재 X에는 “남의 차 유리창을 모텔방으로 쓰지 말아 줄래?”, “러브버그 떼어내려 춤추면서 집 옴”, “동네 공원 산책 나갔다가 전투하고 돌아왔다”, “하루살이 간 줄 알았더니 본게임 시작됐네”, “현재 홍대 러브버그 출몰 상황”, “야구장에 러브버그 너무 많다” 등 체감 불편을 호소하는 글들이 사진과 함께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특히 강변, 공원, 저층 주거지역, 야구장을 중심으로 목격담이 속출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러브버그 막는 법’ 등 방충망 사용법도 공유하고 있다.

한편, 서울시는 2025년부터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방제’ 대책을 본격 시행 중이다. 은평구 백련산 일대에는 광원·유인제를 활용한 포집기를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성동구 뚝도시장에는 하루살이를 유인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청색광 조명을 제거한 LED등이 설치됐다. 영동대교 인근 한강 수면 위에는 부유식 트랩이 가동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방산업체 재취업 러시…2년째 취업제한 ‘0건’ [K-방산, 다음을 묻다②]
  • [체험기] "이게 진짜 폴더블폰 맞아?"… 끝판왕 ‘갤럭시 Z폴드7’
  • "엄청난 밸류" 美서 극찬…'면비디아' 제대로 터졌다
  • 거침없는 코스피에 '시총 3000조' 시대 연 국내 증시
  • 야구 1위·빵의 도시 '대전'…제주 제치고 국내 인기 여행지로 부상 [데이터클립]
  • 단독 "카드 가맹점 매출액 산정 시 세금 제외" 입법 추진⋯카드사, 사면초가
  • "항해는 계속된다"…에이티즈 '재계약'이 독보적인 이유 [엔터로그]
  • 폭염, 생존게임 수준…일사병·열사병 온열질환 구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7.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289,000
    • +2.94%
    • 이더리움
    • 3,822,000
    • +5.2%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0%
    • 리플
    • 3,371
    • +3.95%
    • 솔라나
    • 215,700
    • +2.42%
    • 에이다
    • 874
    • +5.3%
    • 트론
    • 395
    • +0.51%
    • 스텔라루멘
    • 401
    • +1.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580
    • +1.98%
    • 체인링크
    • 19,830
    • +3.71%
    • 샌드박스
    • 372
    • +5.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