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방향 트나?’...“3분기 저점 확인 후 연말 1400원 전망”

입력 2025-06-21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내며 2970대 강보합으로 마감한 1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55(0.19%) 포인트 상승한 2977.84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382.20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코스피가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내며 2970대 강보합으로 마감한 1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55(0.19%) 포인트 상승한 2977.84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382.20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원·달러 환율이 연말에 다시 1400원선에 진입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민경원 우리은행 선임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원·달러 환율의 3분기 등락 범위를 1310~1420원으로, 4분기 레인지는 1350~1460원으로 각각 전망했다. 20일 주간 거래(당일 오후 3시 마감) 종가는 0000원을 기록했다.

민 선임연구원은 “연초 고환율 구간에서 환율 급락 가능성을 경고해왔으며 3분기 초반까지는 원화 강세를 기대한다”며 “다만 연말은 환율 반등을 경계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원·달러 환율은 4월 초 1480원선 고점에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국내증시 외국인 자금 유입에 6월 중순 1350원선까지 급락했다”며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하반기 기업 해외투자, 거주자 해외주식투자 등 역내 달러 실수요 유입에 상승 전환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민 선임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의 단기 하락요인 중 핵심으로 국내증시 외국인 자금 유입에 따른 금융시장 달러수지 흑자 전환을 짚었다.

그는 “트럼프 보편·상호관세 인상으로 한국 수출 전망이 대폭 하향 조정된 후 반등하기 시작한 점도 외국인 자금 순매수를 유인하는 재료”라며 “외국인 국내증시 자금 유입은 외환시장에서 커스터디 매도, 즉 원화 수요 회복을 시사하는 재료임 만큼 당분간 환율 하락에 우호적”이라고 설명했다.

민 선임연구원은 하반기에 원·달러 환율이 다시 상승해 연말에는 1400원 수준에 근접할 가능성을 제기됐다.

최근 급락세를 보였던 환율은 외국인 자금 유입과 기업의 외환 대응 방식 변화 등 복합적 요인으로 단기적으로는 하락 압력을 받지만, 연말로 갈수록 달러 실수요가 확대되며 상승세로 전환할 것이란 분석이다.

민 선임연구원은 “환율이 하반기 1400원에 근접할 경우 뉴노멀이라는 인식보다는 외환위기 재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으나 기우에 불과하다”며 “한은이 보유한 외환보유고는 절대규모가 줄어들고 있지만 단기 대외채무 대비 커버리지 비율은 2.6~2.7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국내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유동성 커버리지 비율도 팬더믹 이후 크게 증가하며 금융시스템 외화조달 안전망이 견고함을 시사한다”고 부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예상 강수량 '최고 150mm 이상'
  • 야닉 시너 윔블던 우승, 알카라스에 설욕
  • 지주사·가상자산 등 이재명·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상반기 이 종목]
  • ‘고용 불안의 도시’가 된 실리콘밸리…근로자들, 극한 스트레스
  • 단독 메리츠화재, 8월 예정이율 전략회의⋯보험료 인상 눈치싸움
  • 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발생…환자 5명 연기 흡입·40명 긴급 대피
  • “코스피, 단기조정 여지 있지만…리레이팅은 계속된다” [하반기 이 업종]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14: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6,144,000
    • +3.72%
    • 이더리움
    • 4,155,000
    • +3.36%
    • 비트코인 캐시
    • 701,000
    • +1.74%
    • 리플
    • 3,990
    • +5.78%
    • 솔라나
    • 227,500
    • +3.46%
    • 에이다
    • 1,035
    • +5.29%
    • 트론
    • 413
    • +0.98%
    • 스텔라루멘
    • 672
    • +14.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960
    • +2.9%
    • 체인링크
    • 22,030
    • +6.68%
    • 샌드박스
    • 448
    • +13.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