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17개 대학 인문계 정시 합격자 56%는 ‘이과생’

입력 2025-06-15 10: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등 21개 학과는 문과생 ‘전무’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지난해 12월 6일 대구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능 성적표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지난해 12월 6일 대구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능 성적표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2025학년도 대학입시에서 서울 주요 대학 인문계 학과에 정시로 합격한 이들 중 절반 이상은 이과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과생이 높은 표준점수로 대입에 비교적 유리한 문과 학과에 지원하는 이른바 ‘문과 침공’ 현상이 가속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종로학원은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2025학년도 서울 주요 17개 대학의 인문계 340개 학과 정시 합격생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선택 과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55.6%는 수학 과목에서 미적분과 기하를 선택한 이과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수학 선택과목 중 미적분과 기하는 주로 이과생이, 확률과 통계는 문과생이 응시한다.

선택과목 중 미적분과 기하는 확률과 통계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높아 입시에서 유리한데, 이과생들이 이를 이용해 인문사회계열에 진학하는 ‘문과침공’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수능에서도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확률과 통계 137점, 미적분은 148점, 기하는 142점으로 차이가 났다.

각 대학별로 살펴보면 한양대의 경우 인문계 학과 합격생의 87.1%는 이과생이었다. 이어 서강대 86.6%, 건국대 71.9%, 서울시립대 66.9%, 성균관대 61.0%, 이화여대 60.3%, 중앙대 53.8%, 연세대 50.3%, 경희대 46.6% 등으로 집계됐다.

합격생 전원이 이과생인 학과도 17개 대학의 21곳에 달했다.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서강대 인문학기반자유전공학부, 성균관대 자유전공계열, 한양대 교육공학과, 이화여대 의예과(인문계열 선발) 등이 대상이다.

다만 서울대, 고려대 등은 수학 선택과목별 합격자 비율을 공개하지 않아 이번 조사에 포함되지 않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자연계 학생이 인문계 학과에 합격하는 상황은 상위권, 중상위권대학 등에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인문계 학과내 경제, 경영 등 인기학과 뿐만아니라 어문계열 학과 등에서도 매우 크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어 “자연계 학생들의 인문계학과 교차지원이 매우 광범위해 인문계 학생들의 정시 합격예측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고, 수능 채점 결과에서도 선택과목간 점수차가 공개되지 않아 입시예측 가능성은 더욱 어려워지는 양상”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433,000
    • +0.16%
    • 이더리움
    • 3,986,000
    • -1.46%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2.54%
    • 리플
    • 3,750
    • +3.39%
    • 솔라나
    • 216,300
    • -3.31%
    • 에이다
    • 964
    • -3.98%
    • 트론
    • 408
    • +1.49%
    • 스텔라루멘
    • 538
    • +20.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150
    • -3.27%
    • 체인링크
    • 20,400
    • -3.09%
    • 샌드박스
    • 388
    • -2.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