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너머] 생존에 필수가 된 사이버보안

입력 2025-05-26 16: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한 달이 지났지만, 여전히 수습은 현재 진행형이다. 신규 영업을 중단한 채 피해 복구와 후속 대책 마련에 모든 역량을 쏟고 있는 SKT의 분투는 사이버 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이번 사건은 사이버 보안 문제가 작은 기업뿐 아니라 튼튼한 대기업도 흔들릴 수 있다는 교훈을 각인시켰다. 많은 기업이 SKT 해킹 사태를 남 일처럼 여기지 못하는 이유다.

개인정보 유출이 아니라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을 뿐이지, 국내 주요 대기업도 2년 전 큰 해킹 피해를 겪은 바가 있다. 제조 협력사의 취약점이 해킹 피해로 이어졌다. 가상자산 관련 기업은 해커들이 가장 흔하게 노리는 먹잇감이다. 해킹으로 큰 피해를 보거나 아예 문을 닫은 가상자산거래소와 국내 가상자산재단도 부지기수다. 점점 커지는 보안 위협 속에, 보안은 더는 특정 산업과 기업에 국한되지 않는다. 사이버 보안은 이제 더는 투자가 아니라 기업의 존립까지 위협할 수 있는 필수재가 되었다.

이번 공격은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라고 불리는 고도화된 사이버 공격 방식으로 이뤄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SKT 해킹에 4~5년은 걸렸을 거로 추측하고 있다. 공격 수법은 고도화되었는데 기업의 보안 수준은 제자리 수준이었다. 특히 SKT가 내부 서버에 개인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평문 형태로 저장했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글로벌 통신 표준인 3GPP 기준을 따랐다고 하지만, KT와 LG유플러스 다른 두 통신사는 암호화했다는 점에서 이는 변호 수단이 되지 못한다.

정부에서는 기업 사이버 보안 체계 강화에 나서고 있다. 정보 보호 공시 확대, 중소·중견 기업 대상 사이버 보안 투자 지원 확대 등이 방안으로 꼽힌다. 개인정보위원회는 기관·기업별 정보보호 예산 비중을 2027년까지 전체 IT 예산의 최소 10%로 확대할 수 있도록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기업들도 사이버 보안 투자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적극적으로 투자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가 2024년 정보보호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6500개 기업 중 정보보호 예산 사용률은 49.9%로 2023년 대비 오히려 7.9%p 감소했다. 정보보호에 예산을 사용한 기업 중 75.8%가 정보보호에 500만 원 미만을 사용했다. 기업의 존립을 위한 필수 조건에 500만 원은 너무 적다. 정보보호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디저트부터 케이팝까지… 신세계명동, K컬처 성지로
  • 코레일, 오전 9시부터 열차 운행 재개⋯교외선은 복구ㆍ점검 후 재개
  • LG유플러스, AWS 손잡고 AI ‘익시젠’ 글로벌 시장 도전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여름철에 돌아온 액션 추리 프랜차이즈…'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시네마천국]
  • 세계 경제, ‘혼란의 시대’에도 연 3%대 성장 이어와⋯그 이유는
  • “선점하니 프리미엄”…신도시 첫 분양 단지, 시세차익 ‘더 유리’
  • 서울 강남 소형 아파트 '40억' 찍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569,000
    • -0.02%
    • 이더리움
    • 5,004,000
    • +1.85%
    • 비트코인 캐시
    • 716,000
    • +1.7%
    • 리플
    • 4,698
    • -0.47%
    • 솔라나
    • 244,300
    • +0.66%
    • 에이다
    • 1,150
    • +1.86%
    • 트론
    • 437
    • -1.13%
    • 스텔라루멘
    • 635
    • +0.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200
    • +5%
    • 체인링크
    • 25,580
    • +3.4%
    • 샌드박스
    • 454
    • +2.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