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완 LG전자 사장 "美 공장 증설 사실상 마지막 수단"

입력 2025-04-25 08: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24일 서울대학교 제1공학관에서 전기·정보공학부 재학생 200명에게 특강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자료제공=LG전자)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24일 서울대학교 제1공학관에서 전기·정보공학부 재학생 200명에게 특강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자료제공=LG전자)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미국 관세 영향에 관해 "관세 인상 폭이 우리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면 (미국향 가전제품의) 가격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며 "미국 공장 증설은 사실상 가장 마지막 단계"라고 말했다.

조 사장은 24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전기·정보공학부 대상 특별 강연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관세를) 수용할 수 있는 만큼은 최대한 수용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제조하고 있다. 멕시코에서는 냉장고·조리기기 등 생활가전과 TV를, 베트남에서는 냉장고, 세탁기 등을 생산한다. 상호관세가 현실화하면 주요 가전 생산지를 미국 현지로 옮기거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에 기반한 스윙 생산 체제, 판가 인상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 중이다.

미국 공장 증설 가능성에 대해 조 사장은 "미국 생산 기지 건립은 마지막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우선 생산지 변경이나 가격 인상 등 순차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해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본격적인 관세 효과는 올해 2분기부터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관세 정책 시행 전 제품을 미리 사두는) '풀인 효과'는 1분기에 그렇게 크지 않았다"며 "관세로 (실적이) 악화가 되든, 플러스가 되든 2분기부터 시작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인도법인 기업공개(IPO) 시점과 관련해선 "6월이 될지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 만큼 몇 개월 정도 지켜보려고 한다"며 "IPO를 통해 돈을 많이 가져오겠다는 게 목적이 아니다. 회사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고 주주 가치도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조 사장은 이날 '기술로 완성하는 고객경험 혁신'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그는 “뛰어난 제품과 앞선 기술도 중요하지만, LG전자가 하는 모든 일의 본질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LG전자의 혁신 제품 사례를 소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예상 강수량 '최고 150mm 이상'
  • 야닉 시너 윔블던 우승, 알카라스에 설욕
  • 지주사·가상자산 등 이재명·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상반기 이 종목]
  • ‘고용 불안의 도시’가 된 실리콘밸리…근로자들, 극한 스트레스
  • 단독 메리츠화재, 8월 예정이율 전략회의⋯보험료 인상 눈치싸움
  • 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발생…환자 5명 연기 흡입·40명 긴급 대피
  • “코스피, 단기조정 여지 있지만…리레이팅은 계속된다” [하반기 이 업종]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12: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944,000
    • +1.86%
    • 이더리움
    • 4,085,000
    • +1.79%
    • 비트코인 캐시
    • 692,000
    • +0.36%
    • 리플
    • 3,959
    • +5.18%
    • 솔라나
    • 224,600
    • +2.46%
    • 에이다
    • 1,034
    • +5.83%
    • 트론
    • 410
    • -0.49%
    • 스텔라루멘
    • 693
    • +23.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300
    • +1.11%
    • 체인링크
    • 21,670
    • +5.45%
    • 샌드박스
    • 435
    • +11.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