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지드래곤을 우주로 보냈다? 세계 최초 ‘우주 음원’ 실험

입력 2025-04-10 09: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카이스트)
(사진제공=카이스트)
카이스트는 미디어 아티스트인 문화기술대학원 이진준 교수와 글로벌 아티스트 지드래곤(G-DRAGON)과의 협업을 통해 9일 카이스트 우주연구원에서 실시한 세계 최초로 미디어아트를 기반으로 한 '우주 음원 송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카이스트와 갤럭시코퍼레이션과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엔터테크 연구센터’의 일환으로 제안된 것이다. 갤럭시코퍼레이션 소속 아티스트이자 KAIST 기계공학과 초빙교수로 활동 중인 가수 지드래곤(본명 권지용)의 메세지와 음원을 세계 최초로 우주로 송출하는 프로젝트이다.

과학기술, 예술, 대중음악이 결합된 융복합 프로젝트로,카이스트의 첨단 우주 기술과 이진준 교수의 미디어아트 작품, 그리고 지드래곤의 음성과 음원(홈스윗홈, HOME SWEET HOME)이 하나로 연결된 새로운 형태의 ‘우주 문화 콘텐츠’ 실험이다.

이번 협업은 ‘인간 내면의 우주를 외부 우주로 확장하는 감성적 신호’를 주제로 기획됐다. 지드래곤의 홍채 이미지는 그 고유성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내면의 창으로 AI를 통해 증강되었고 신곡 홈스윗홈은 그 감성의 진동을 담은 오디오 메시지로 결합됐다.

이는 카이스트 우주연구원이 개발한 차세대 소형위성과 우주로 실제 송출되며, 개인의 내면의 우주가 지구 밖의 우주를 향해 전파되는 상징적 퍼포먼스를 완성했다.

▲지드래곤의 홈스윗홈 음원을 전송하는 모습 (사진제공=카이스트 )
▲지드래곤의 홈스윗홈 음원을 전송하는 모습 (사진제공=카이스트 )

현장에서 이진준 교수의 시네마틱 미디어아트 작품 아이리스가 공개됐다. 이 작품은 세계 최초 카이스트 우주연구원의 13m 우주 안테나에 프로젝션 매핑 방식으로 상영됐다. 지드래곤의 홍채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제작된 영상으로, 천년의 시간을 품은 에밀레종의 종소리 데이터를 활용한 사운드와 결합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감성적 예술 경험을 선사했다.

본 작업은 홍채, 심박, 뇌파 등 생체데이터 기반의 뉴미디어 기술을 바탕으로 한 KAIST TX랩과 이 교수의 주요 연구 성과 중 하나다.

카이스트 우주연구원은 본 프로젝트를 통해 위성 기술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과학이 보다 대중적인 방식으로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모델을 보여주었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카이스트는 언제나 새로운 상상력과 도전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곳”이라며, “과학기술과 예술이 융합된 이번 프로젝트처럼 앞으로도 누구도 생각지 못한 창의적인 연구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예상 강수량 '최고 150mm 이상'
  • 야닉 시너 윔블던 우승, 알카라스에 설욕
  • 지주사·가상자산 등 이재명·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상반기 이 종목]
  • ‘고용 불안의 도시’가 된 실리콘밸리…근로자들, 극한 스트레스
  • 단독 메리츠화재, 8월 예정이율 전략회의⋯보험료 인상 눈치싸움
  • 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발생…환자 5명 연기 흡입·40명 긴급 대피
  • “코스피, 단기조정 여지 있지만…리레이팅은 계속된다” [하반기 이 업종]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11:4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863,000
    • +1.79%
    • 이더리움
    • 4,085,000
    • +1.79%
    • 비트코인 캐시
    • 691,000
    • +0.07%
    • 리플
    • 3,932
    • +4.3%
    • 솔라나
    • 224,300
    • +2.14%
    • 에이다
    • 1,030
    • +5.53%
    • 트론
    • 410
    • -0.49%
    • 스텔라루멘
    • 697
    • +24.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340
    • +0.36%
    • 체인링크
    • 21,620
    • +5%
    • 샌드박스
    • 436
    • +1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