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업종별 맞춤형 유동성 공급
우리, 비상경영 체제 돌입

4대 금융지주가 미국 상호관세 조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24조 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에 나섰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총 8조 원 규모의 금리 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영업점 전결 금리 우대 프로그램은 1조5000억 원에서 3조 원으로 늘리고, 국가 전략 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등을 위한 한시 특별 금리 우대 프로그램도 기존 3조 원에서 5조 원으로 확대한다.
또한,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총 230억 원을 특별 출연해 8400억 원 규모의 보증서를 공급할 예정이다. 담보력과 신용도가 취약한 혁신성장기업, 수출기업은 3년간 보증비율 100% 우대 협약보증서를 발급받거나, 최대 1.5%p 이내의 보증료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와 별도로 미국의 관세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자동차 관련 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업무협약을 맺고 총 1500억 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 대출을 신속히 공급한다.
관련 뉴스
신한금융은 약 10조 원 규모의 선제적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금융부담 완화를 위한 기업 금리 우대 프로그램을 통해 6조4000억 원을 지원한다. 또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3조 원 규모의 특별 금리 인하 하이패스 쿠폰을 지급한다.
소상공인 신규 대출 지원을 위한 신용보증재단 특별출연을 통해 5000억 원을 지원하고, 수출기업 등 중소기업 신규 대출 지원을 위해 신용보증기금 특별출연을 통해 600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하나금융은 6조 원 규모의 긴급 유동성 지원에 나섰다. 기존 '주거래 우대 장기 대출'의 3조 원 증액에 더해, 3조 원 규모 '금리 우대 대출'을 신규로 추가 지원한다. 또한 관세 피해로 인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기업에 대해서는 △원금상환 없이 기한연장 △분할상환 유예 △금리감면 △신규자금 지원 등의 혜택도 제공한다.
우리금융은 이날 '상호관세 피해 지원TF' 회의를 열고 즉각 비상경영 체제로 전환했다. 금융당국의 정책 기조와 대응 방향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현장에서 직접 파악한 기업 고객들의 애로사항을 기초로 실효성 있는 지원사항을 수립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