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평균 예금금리 2%대…부실 PF 여파에 금리 경쟁력 '뚝'

입력 2025-03-24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년 평균 예금금리 연 2.99%
시중은행 수준 금리로 경쟁력 악화

(사진제공=저축은행중앙회)
(사진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의 평균 예금금리가 2년 9개월 만에 연 3% 아래로 떨어졌다. 기준금리 하락세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로 건전성 관리 기조가 강해지면서 금리 경쟁력이 악화하고 있다.

24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2.99%로 집계됐다. 평균 예금금리가 2%대까지 주저앉은 것은 2022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저축은행 예금금리는 지난해 10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본격적인 하강 국면을 맞았다. 지난해 초 연 3.96%로 시작한 평균 예금금리는 연말께 연 3.33%까지 떨어졌고,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하된 지난달 말 기준으로 연 3.05%까지 내렸다.

주요 저축은행의 예금금리는 이미 연 2%대에 진입했다. SBI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각각 연 2.80%, 2.81%다. 애큐온저축은행과 한국투자저축은행도 연 2.90%, 2.85%의 예금금리를 제공 중이다.

저축은행의 예금 상품 매력도 사라지고 있다.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예금 최고금리는 연 2.80~2.90% 수준이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도 연 2.90%의 예금금리를 기록 중이다. 금융소비자들이 저축은행에 돈을 맡길 이유가 없는 것이다.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감소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1월 말 수신 잔액은 101조8154억 원으로 10월(103조5989억 원) 이후 감소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PF 부실도 금리에 영향을 미쳤다. 저축은행 건전성이 악화하면서 업권이 전반적으로 대출을 줄이면서 재원인 예금을 유치하기 위한 동기가 약화했다.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8.52% 전년 대비 1.97%포인트(p)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10.66%)도 2.91%p 올랐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대출 영업을 적극적으로 할 여력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공시] 신세계 “이명희 총괄회장, 지분 10% 딸 정유경 회장에 증여”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검찰, ‘尹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 삼성전자, 1분기 최대 매출 79조…갤럭시S25 잘 팔려 선방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72,000
    • -0.42%
    • 이더리움
    • 2,556,000
    • -2.67%
    • 비트코인 캐시
    • 523,500
    • -2.33%
    • 리플
    • 3,160
    • -3.66%
    • 솔라나
    • 208,600
    • -2.2%
    • 에이다
    • 989
    • -3.42%
    • 이오스
    • 978
    • -2.2%
    • 트론
    • 353
    • -0.56%
    • 스텔라루멘
    • 394
    • -2.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200
    • -4.49%
    • 체인링크
    • 20,580
    • -4.77%
    • 샌드박스
    • 422
    • -2.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