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윤 차관 "민감국가 지정에도…韓·美 과학기술 협력 문제없다"

입력 2025-03-19 14: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양자전략위원회 출범'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양자전략위원회 출범'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최근 미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지정과 관련 “과기정통부는 에너지부와 대화를 통해 과학기술 협력에 문제가 없고 향후 협력 의지가 있음을 확인했다”며 “관계부처와 협력해 동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속 노력해나가겠다”고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제1차관은 19일 대덕 특구에서 주요 출연연들과 한미 과학기술 협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2월 이창윤 차관의 보스턴 출장 성과를 연구기관들과 공유하고 미국 신정부와의 과학기술 협력사업 발굴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를 비롯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총 12개 기관, 30여 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 앞서 과기정통부는 출연연들을 대상으로 미 신정부의 과학기술 동향과 미 에너지부(DoE) 민감국가 지정 관련 상황을 공유했다.

이 차관은 "최근, 미 에너지부에서 우리나라를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을 확인해 주면서 한미 과학기술 협력에 대해 과학계의 우려가 많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과기정통부는 외교·산업·기재부와 수시로 소통하면서 미 백악관, 에너지부, 국무부 등 관련 기관들과 적극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미 시 미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직접 협의하는 기회에 관계부처 의견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차관은 "현재 미 에너지부 민감국가 등재로 인해 과학기술 협력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음에도 곳곳에서 우려가 많아 과학기술계의 불안이 높아지고 사기가 저하될까 걱정스럽다"며 "

한미 과학기술 동맹은 더욱 가속화돼야 하며 우리나라 과학계에서 미 우수 연구기관들과의 실체적인 협력 의제를 발굴해 제시해 주신다면 과기정통부는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미 과학계 주요 인사들이 마련한 ‘미국 과학기술 비전’과 ‘과학외교(Science Diplomacy) 개념 변화’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서, 각 출연연이 기관 차원에서 추진 중인 한미 협력 아이템에 대해 발표한 후, 애로사항과 향후 발전 방향 등을 심층 논의했다.

이창윤 차관은 “미 신정부와 과학기술 협력을 지속 강화해나가기 위해서는 미 국립연구소, 유수 대학들과 협력 네트워크를 보유한 우리 출연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향후 미 신정부와의 고위급 면담 등을 주선해 출연연의 협력사업들이 더욱 확장되고 진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투사 지정 예고에 분주…조직 손질에 인력 모시기 [초대형IB 대전 上] ①
  • 서울 관악구 봉천동 아파트 화재 용의자 사망…6명 중경상 [종합 2보]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전세사기 불씨 언제쯤 꺼질까…전국 강제경매로 팔린 주택, 1분기 내내 늘었다
  • 전장연, 오늘 혜화역 4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K바이오, 남성 암 2위 ‘전립선암’ 진단·치료제 시장 개척 속속
  • 韓대행 "24일 밤 9시 한미 2+2 통상협의…'윈윈' 방안 찾기 총력"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14:1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277,000
    • +1.83%
    • 이더리움
    • 2,349,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485,700
    • -0.98%
    • 리플
    • 3,033
    • +0.8%
    • 솔라나
    • 201,800
    • -0.79%
    • 에이다
    • 918
    • +0.88%
    • 이오스
    • 932
    • +1.53%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362
    • +1.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920
    • +0.53%
    • 체인링크
    • 19,410
    • +2.75%
    • 샌드박스
    • 398
    • +2.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