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유출' 논란 연세대, 2027학년도 58명 줄여 뽑기로

입력 2025-03-18 16: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뉴시스)
(뉴시스)

지난해 '문제 유출' 논란이 일며 추가 시험을 치른 연세대가 2027학년도 모집인원을 58명 줄여 뽑기로 했다.

교육부는 18일 오후 출입기자단에 "2027학년도 모집인원에 반영될 감축분은 58명이 될 예정"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해 연세대는 수시 자연계열 논술전형에서 문제 유출 논란이 불거지자 추가 시험을 치렀다. 애초 연세대 자연계열 논술전형 모집인원은 261명이었는데 시험을 두 번 치르게 되면서 최종 합격자는 두 배까지 늘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1, 2차 시험 중복합격자 110명이 있었고 총 합격자 중 미등록자 등을 제외 최종 등록 인원은 358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12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시행한 논술시험 문제가 사전 유출됐다는 의혹이 확산하며 불거졌다. 연세대 논술시험 고사장 한 곳에서 감독관이 시험 시작 시간을 착각해 정해진 시각보다 일찍 문제지를 나눠줬다. 감독관은 15분쯤 뒤 시험지를 회수했지만 수험생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문제에 나온 도형을 묘사한 글을 올리면서 문제지 사전 유출 논란이 불거졌다.

경찰은 시험 시작 전 온라인에 문제 유출은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 피의자 8명이 문제지 사진을 올린 것은 시험이 끝난 이후였고 사전에 문제 유형을 언급한 게시글도 막연해 정보 유출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시험지를 미리 받아 챗GPT로 푼 수험생 1명은 업무방해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 이 학생은 시험 후 디시인사이드에 챗GPT 활용 글을 올려 적발됐으나 풀이가 오답이어서 낙방한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협력+경쟁’ 시대…산업 생태계 新 생존 키워드 [2025 ‘코피티션’ 上]
  • 전 세계 中 공세 '방어막'…무방비국 된 韓 [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 下]
  • 의대생 수업 복귀 ‘미지수’…강의실 ‘텅텅’ [의대정원 ‘동결’ 그 후]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폴더블폰 전쟁 뛰어든 애플… 삼성의 '위기와 기회'
  • “트럼프 투자 요구할라” 셈법 복잡해진 조선사들
  • 모은 돈이 세력?…이재명·한동훈, 후원금도 경쟁 붙은 2025 대선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303,000
    • +6.28%
    • 이더리움
    • 2,511,000
    • +10.76%
    • 비트코인 캐시
    • 521,000
    • +5.13%
    • 리플
    • 3,181
    • +6.46%
    • 솔라나
    • 214,700
    • +9.99%
    • 에이다
    • 974
    • +9.07%
    • 이오스
    • 960
    • +6.08%
    • 트론
    • 355
    • +0%
    • 스텔라루멘
    • 382
    • +6.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50
    • +6.47%
    • 체인링크
    • 20,190
    • +7.57%
    • 샌드박스
    • 418
    • +7.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