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성근 아이엘사이언스 대표 "실내 조명, 테슬라 주니퍼Y 지난달부터 양산 공급 중"

입력 2025-03-13 12: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3일 여의도 미래 성장 동력 공개 간담회

▲송성근 아이엘사이언스 대표(김우람 기자 hura@)
▲송성근 아이엘사이언스 대표(김우람 기자 hura@)

"실내 조명, 테슬라 주니퍼Y의 지난달부터 양산 공급 중입니다."

송성근 아이엘사이언스 대표는 13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에서 "밸류체인의 혁신을 통해 비용 절감을 이뤘내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선택을 받았다"라며 이 같이 밝혔다. 포르쉐에도 조명 부품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한다.

아이엘사이언스는 자회사들의 밸류체인 전체를 관할하는 의미로 사명을 아이엘사이언스에서 '아이엘'로 변경한다.

이날 송 대표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의 개발 진행 상황도 공개했다.

송 대표는 "17년 동안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을 통해 현재의 성공을 거두었다"며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은 앞으로 나아가야 할 중요한 방향"이라며 "해당 기술은 휴머노이드 로봇 등 차세대 첨단 기술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이엘사이언스는 현재 실리콘렌즈 기반 자동차 램프를 제조해 현대·기아차에 다양한 차종 선정 되기 시작해 공급 중이다. 올해부터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 테슬라, 포르쉐 등의 차종에 선정이 본격화되면서 공급이 확대될 예정이라고 한다.

아이엘사이언스가 연구 중인 전고체 배터리 기술은 리튬을 기반으로 진행 중이다. 리튬 전고체 배터리는 물질의 에너지 저장 용량이 뛰어나 현재 정부 및 글로벌 시장에서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 대표는 "리튬 음극의 덴드라이트 형성을 방지하는 고안정성 리튬음극 시트를 개발 중이며, 이는 배터리의 안전성과 성능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종 목표는 고안정성 리튬음극 시트를 롤타입으로 고객사에 공급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이엘사이언스는 전고체 배터리 분야의 시장 규모가 2040년까지 74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시장은 향후 10년 내에 60조 달러(약 8경6622조 원) 규모로 커질 전망으로 이러한 기술 개발이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송 대표는 "새로운 세대의 테크 프론티어가 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역차별에 흔들리는 韓-하] 혁신 DNA 사라지나…규제 장벽에 갇힌 한국 IT
  • 서울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사고…교통 통제ㆍ버스 우회 운행 중
  • 성묘객 실화가 나흘째 활활…의성 산불 영향구역 밤새 급증
  • 트럼프 “많은 국가 관세 면제” 발언에 뉴욕증시 환호…나스닥 2.27%↑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3차예선 요르단전…중계 어디서?
  • 실손24, 의료계 수수료 요구 논란…"불참 시 처벌 규정 필요"
  • “예금 안 깨고 급전” 예담대 잔액 급증…가계대출 사각지대 커진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11: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240,000
    • +1.35%
    • 이더리움
    • 3,048,000
    • +3.89%
    • 비트코인 캐시
    • 486,600
    • +2.08%
    • 리플
    • 3,587
    • +0.2%
    • 솔라나
    • 205,600
    • +4.37%
    • 에이다
    • 1,076
    • +2.87%
    • 이오스
    • 841
    • +3.19%
    • 트론
    • 335
    • +0%
    • 스텔라루멘
    • 426
    • +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400
    • +3.23%
    • 체인링크
    • 22,150
    • +5.43%
    • 샌드박스
    • 442
    • +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