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운용 ‘PLUS고배당주’ 외납세 개편에 순자산 5000억 돌파

입력 2025-02-14 08: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화자산운용은 ‘PLUS고배당주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총액이 5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일 종가 기준 ’PLUS고배당주 ETF’의 순자산총액은 501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주식에 투자하는 배당주 ETF 중 최대 규모다.

특히 최근에는 개인투자자의 순매수가 두드러졌다. 이 ETF는 최근 7거래일간 개인들로부터 약 269억 원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한화자산운용은 절세 계좌 내 해외 펀드·ETF의 분배금이 감소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매수세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국내 기업에서 발생하는 배당소득은 외국납부세액이 없어 연금 계좌로 ‘PLUS고배당주 ETF’에 투자하면 별도의 과세 없이 받은 배당금을 전부 재투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PLUS 고배당주 ETF’의 분배금 재투자를 감안한 수익률 성과는 최근 1년은 78.5%, 3년은 37.3%, 5년은 15.3%를 기록했다.

‘PLUS 고배당주 ETF’는 연환산 5~6% 수준의 분배금을 매년 안정적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 성장률은 2012년 상장 이후 연평균 15.4%에 달한다. 이 ETF는 지난해 5월부터 분배금 지급 주기를 연 1회에서 월 1회로 변경하고 매월 주당 63원의 고정 금액을 지급하고 있다.

대표 구성종목은 기아, 기업은행, 우리금융지주, 삼성증권, DB손해보험, SK텔레콤, 삼성카드 등이다. 대표적인 밸류업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 금융주가 약 6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통신서비스(12.8%), 경기소비재(6.3%), 필수소비재(5.7%), 에너지(3.7%) 등 다양한 섹터의 고배당 기업에 분산투자 하는 것이 특징이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PLUS고배당주는 국내 대표 기업 중에서도 실적이 탄탄해 배당 가능한 현금 여력이 매우 큰 기업들로 구성돼 있다”며 “단순히 배당을 많이 지급하는 기업이 아니라 우수한 실적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배당을 지속할 수 있는 기업들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연금계좌에서 투자 시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美 경제지표 발표에 관망세…8만 달러 중반서 핑퐁 [Bit코인]
  • 울산·경북·경남 대형산불 평균 진화율 83%…인명피해는 65명
  • '테니스 신'에 도전하는 사나이…노바크 조코비치의 원픽은 [셀럽의카]
  • 사골·양지 육수의 깊은 맛...37년간 꾸준한 ‘국민 사랑’[K-라면 신의 한수②]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오늘(28일) 4막 13~16화 공개 시간은?
  • 전국 별별 여행 체험 아이템 다 모였다…“우리 지역에 놀러오세요” [르포]
  • 빔스부터 키스까지...뜨거운 패션 편집숍 경쟁, 왜?
  • 10대 제약사라도 평균 연봉은 ‘천차만별’…성별 격차도 여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12: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239,000
    • -0.84%
    • 이더리움
    • 2,952,000
    • -1.57%
    • 비트코인 캐시
    • 475,900
    • -4.25%
    • 리플
    • 3,405
    • -3.16%
    • 솔라나
    • 201,400
    • -2%
    • 에이다
    • 1,078
    • -1.28%
    • 이오스
    • 852
    • -1.62%
    • 트론
    • 343
    • +0%
    • 스텔라루멘
    • 420
    • -2.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150
    • -2.94%
    • 체인링크
    • 22,550
    • -2.55%
    • 샌드박스
    • 444
    • -4.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