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트럼프 주니어 소개로 주요 인사들 만날 것…韓 정부 메시지 없어"

입력 2025-01-18 12: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업가 임무 충실…대미창구 개선돼야"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22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22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와의 친분을 드러내며, 앞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협업에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때 장남 트럼프 주니어의 소개로 주요 인사를 만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정 회장은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17일 뉴욕 JFK 공항에 도착해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정 회장은 취임식 때 주요 인사를 만날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말에 "트럼프 주니어가 많이 소개해줄 걸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주니어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최고 '실세'로 꼽힌다.

정 회장은 "(트럼프 주니어와) 원래 친한 사이였다"며 "스스럼없이 대화하고 스스럼없이 만나는 사이이기 때문에 또 계속 만남을 유지하면서 둘이 같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국내 재계에서 기대하는 한미 경제를 연결하는 민간 가교 역할에 대해선 "사업가로서 맡은 바 임무에만 충실히 하려고 한다"고 했다. 그는 국내 정치적 상황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응할 수 있는 대미 창구가 부재한 상황에 아쉬움을 표하며 "대미 창구가 빨리 개선돼야 한다"는 뜻도 내비쳤다.

그러면서 이번 방미 때 트럼프 행정부에 전해달라는 한국 정부의 메시지는 없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신세계 측은 "정 회장은 평소 기업인으로서 한미 간 가교 역할을 하거나 국익에 보탬이 되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외교관이나 행정가가 아니어서 국가 어젠다(의제)를 말할 입장은 아니지만 미국이라는 큰 시장에 다양한 창구가 만들어지는 것은 중요하다는 게 정 회장의 지론"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341,000
    • -0.05%
    • 이더리움
    • 2,538,000
    • -1.63%
    • 비트코인 캐시
    • 504,500
    • -2.13%
    • 리플
    • 3,168
    • -0.72%
    • 솔라나
    • 218,000
    • +0.69%
    • 에이다
    • 1,042
    • +3.89%
    • 이오스
    • 980
    • +2.19%
    • 트론
    • 355
    • +0.28%
    • 스텔라루멘
    • 402
    • +4.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40
    • +0.52%
    • 체인링크
    • 21,550
    • +0.42%
    • 샌드박스
    • 432
    • +1.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