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꾸준히 증가하는 파킨슨병...조기 진단 중요

입력 2025-01-10 13: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파킨슨병’...조기 진단 중요

▲박건우 수원 윌스기념병원 파킨슨센터 센터장
▲박건우 수원 윌스기념병원 파킨슨센터 센터장
병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수원 나혜석 거리’라는 곳이 있다. 나혜석은 최초의 한국 여성 서양화가로 수원에서 태어났다. 나혜석 거리는 그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약 300m가량의 길을 문화와 만남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나혜석은 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독립운동가, 언론인 등 시대를 앞선 종합 예술인이라고 볼 수 있다. 51세경 파킨슨병이 발병했고 그녀는 떨리는 손으로 작품활동을 이어 나갔다고 한다.

파킨슨병은 중뇌에 위치한 흑질이라는 부위에 도파민(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 전달 물질)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서서히 소실되는 질환으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는 난치성 질환이다. 또한, 아주 서서히 시작되어 조금씩 진행되기 때문에 언제 병이 시작되었는지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초기 증상은 피곤함, 무력감, 팔다리의 불쾌한 느낌 등이 나타나고 걸음걸이나 자세가 변하면서 얼굴이 무표정해지고, 우울증이나 소변 장애, 수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파킨슨병의 주요 3대 증상은 행동의 느려짐(Bradykinesia), 안정 시 떨림(Resting tremor), 경직(Rigidity)이다. 파킨슨병의 떨림은 움직일 때보다 가만히 안정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서서히 근육이 경직되고, 동작의 폭이 좁아지며 느려진다. 파킨슨병이 진행되는 중기에는 자세가 불안정해지면서 자주 넘어지기도 한다.

파킨슨병은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으로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파킨슨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12만5000여명으로 2019년 11만여 명에 비해 약 14%가량 증가한 추세를 보였다. 대부분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발병한다.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인지 질환으로 인한 증상인지 헷갈려 하거나 증상이 발생하고 오랜 시간 뒤에 병원을 찾는 경우가 있는데, 60세 이상이고 몸의 변화가 느껴진다면 바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진단은 전문의의 병력 청취와 신경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한다. 파킨슨병은 약물치료를 통해 어느 정도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다. 특히 발병 초기에 적절한 약물복용으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운동을 통해 근력과 유연성, 지구력 등 신체 기능 향상을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추천되는 운동으로는 걷기, 수영, 실내 자전거 타기, 아쿠아로빅 등이다. 혼자 운동이 어렵다면 재활치료를 통해 자세교정, 보행 훈련, 호흡 훈련 등도 함께 진행하면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

증상의 정도와 나이, 동반된 질환 등을 고려해 전문의와 상의하고 약물의 농도를 조절하며 복용하고, 본인의 상태에 맞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파킨슨병은 개인의 노력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는 질환이다. 꾸준한 치료로 일상생활을 충분히 이어나갈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환율 출렁이는 요즘, 해외여행·해외결제는 어떤 방식이 좋을까? [경제한줌]
  • 앱 깔듯이 새 기능 다운로드… 국산차 '업데이트' 중 [트럼프 2기, K제조업 다시 뛴다]
  • [상보] 탄핵심판 직접 출석한 ‘尹’…“재판관께 송구...잘 살펴주시기 바란다”
  • 트럼프 “김정은, 이젠 뉴클리어파워”…대북정책 전환 암시인가[트럼프 취임]
  • 트럼프, 전기차 의무화 폐지…첫 날부터 직격탄 맞은 車업계
  • SK하이닉스, CXL에 칩렛 기술 적용한다 "차세대 반도체 기술 속도전"
  • '트럼프 컴백'에 비트코인도 껑충…향후 전망은? [Bit코인]
  • 엔비디아發 ‘HBM4 시대’ 성큼…차세대 D램 경쟁 가열
  • 오늘의 상승종목

  • 01.21 15: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354,000
    • -1.34%
    • 이더리움
    • 4,885,000
    • -2.44%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1.98%
    • 리플
    • 4,617
    • -1.83%
    • 솔라나
    • 355,500
    • -3.68%
    • 에이다
    • 1,477
    • -3.9%
    • 이오스
    • 1,206
    • -4.59%
    • 트론
    • 359
    • +1.41%
    • 스텔라루멘
    • 654
    • -4.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6,750
    • -2.85%
    • 체인링크
    • 36,370
    • -2.57%
    • 샌드박스
    • 829
    • -3.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