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전략] 추경 가능성·대통령 퇴진 가능성에 강세 마감…美 CPI 주목

입력 2024-12-11 09: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문가들은 11일 우리나라의 추가경정예산 가능성과 대통령 퇴진 가능성으로 금리 부담이 커지며 전날 국내 채권시장이 강세 마감했다고 말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채권시장은 레벨 부담 속 전일 미국채 금리에 연동되며 약세 출발했다.

장초반 야당 원내 대표의 추경 발언, 여당 측 대통령 조기 퇴진 계획 발표로 금리 부담이 가중중됐다. 장중 내년 예산안을 두고 여야간 협의 결렬됐지만 장마감 후 더불어민주당의 감액안이 통과됐다. 이에 일각에서 추경이 불가피하다는 인식 확대됐지만 전일 금리는 주요 지표물 변경, 대기매수 영향에 하락했다.

간밤 미국 채권시장은 약세로 마감했다. 특별한 재료 부재한 가운데 미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앞두고 대기모드에 들어선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주 12월 연방공개시장회의(FOMC)에서 금리 인하 여부에 관한 마지막 퍼즐이 나오는 만큼 시장 경계감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금리선물시장은 12월 인하 확률을 80%중반 수준에서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이날은 미국 11월 CPI, 한국 11월 실업률, OPEC 월간 원유시장보고서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파죽지세’ 비트코인, 12만3000달러도 넘어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단독 100만명 돌파한 ‘GS25 도어투 성수’, 2년 8개월 만에 ‘폐점’
  • 유통가, 15일 자정 ‘갤럭시 Z 플립7ㆍ폴드7’ 일제히 사전예약...어디서 사야 최대 혜택?
  • 이 대통령, 반려견 '바비' 소개…"자꾸 아내한테만 가서 서운"
  • "눈 떠보니 내가 여주인공?!"…요즘 공연 영화, 이렇게 변신했다 [엔터로그]
  • 자영업자 10명 중 3명은 최저임금도 못 번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3,743,000
    • +1.83%
    • 이더리움
    • 4,120,000
    • +1.63%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0%
    • 리플
    • 4,072
    • +5.85%
    • 솔라나
    • 224,600
    • +1.91%
    • 에이다
    • 1,005
    • -0.5%
    • 트론
    • 408
    • -0.49%
    • 스텔라루멘
    • 627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890
    • -0.61%
    • 체인링크
    • 21,970
    • +2.66%
    • 샌드박스
    • 427
    • -3.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