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 중국 화창과 업무협약…복합동박 상용화ㆍ중국 진출 협력

입력 2024-09-26 10: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태동 아이엠 대표이사(왼쪽부터), 인용(Yin Yon) 화창 부사장이 업무협약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아이엠)
▲김태동 아이엠 대표이사(왼쪽부터), 인용(Yin Yon) 화창 부사장이 업무협약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아이엠)

복합동박 신사업을 추진 중인 아이엠이 중국 화창(Huachuang)과 복합동박 및 하이엔드 연성동박적층필름(FCCL)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복합동박 표준 제정을 비롯해 상용화 및 시장 선점을 위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아이엠은 이차전지용 복합동박 샘플을 제공하고 표준 제정에 필요한 기술적 지원을 담당한다. 화창은 복합동박 양산에 필요한 기술 협력을 포함해 아이엠의 중국 복합동박 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에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화창은 글로벌 이차전지 기업인 닝더스다이(CATL)와 비야디(BYD)가 직접 투자한 중국 동박 생산 업체다.

복합동박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머 필름 양면에 구리를 증착 및 도금해 제조된다. 이는 기존 동박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최근 연이은 전기차 화재사고로 배터리 안전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열폭주 차단에 효과적인 복합동박의 안전성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아이엠은 현재 복합동박 양산을 위한 성능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다. 국내 대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국내 고객사들과 샘플 테스트 진행과 상용화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아이엠 관계자는 “화창과는 이전부터 복합동박 관련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등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왔다”며 “앞으로도 기술력 있는 국내외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급성장이 예상되는 글로벌 복합동박 시장 선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국해증권에 따르면 복합동박 시장 규모는 2025년 3조4000억 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과 전쟁 돌입…핵시설 3곳 폭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미사일 보복' 나선 이란… "이스라엘 상공에 폭발음"
  • 범접 메가크루 반응 터졌는데…허니제이ㆍ아이키, 언행 논란으로 '찬물'
  • 'K-AI' 기대감에 '국민주' 네카오 불기둥 행렬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754,000
    • -3.65%
    • 이더리움
    • 3,050,000
    • -9.15%
    • 비트코인 캐시
    • 625,000
    • -5.87%
    • 리플
    • 2,755
    • -6.07%
    • 솔라나
    • 181,500
    • -6.49%
    • 에이다
    • 741
    • -7.26%
    • 트론
    • 367
    • -4.18%
    • 스텔라루멘
    • 313
    • -6.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10
    • -4.46%
    • 체인링크
    • 15,960
    • -8.17%
    • 샌드박스
    • 317
    • -6.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