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내년 1분기에 소비자물가 넘을지 주목”

입력 2022-09-29 07: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의 기준금리가 소비자물가를 상회할 지 눈여겨 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오창섭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9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금리가 물가를 상회할 때까지 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 인플레이션 시기의 연준 금리 인상은 대부분 실질금리가 플러스될 때까지 연방금리를 올렸다”고 분석했다.

이어 “내년 2분기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컨센서스가 3%대를 기록함에 따라 빠르면 내년 1분기에 연방금리가 소비자물가를 상회할 지 여부를 주목해야 한다”며 “이에 따라 미국 금리 인상은 4.75% 또는 5.00% 수준에서 마무리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내다봤다.

오 연구원은 “현재 금융시장에서의 경기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통화정책은 금리 인상을 고수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장과 정책의 시각차는 경기와 물가에 대한 서로 상반된 입장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시장은 경기와 물가에 대한 가중치에서 경기에 무게 중심을 높이는 반면 통화정책은 경기와 물가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물가에 대한 책임이 크다”며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이 가장 중요한 책무이기 때문에 고물가 상황에서는 통화긴축을 통한 물가안정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오 연구원은 “그러나 인플레이션과 경기둔화가 동시에 발생한 상황은 통화긴축이 경기침체로 이어진다”며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동반한 경기둔화 국면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 보통 스태그플레이션은 전쟁과 같은 국가위기 사태인 경우가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 사례는 1~2차 세계대전 및 중동 불안에 따른 1970년대 석유파동(Oil-Shock) 당시를 생각할 수 있는데, 1970년대 후반 폴 볼커 연준 의장은 연방금리를 20% 수준까지 올리며 경기침체와 함께 물가를 안정시켰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트럼프, 관세전쟁 재시동...“2주 안에 의약품 관세 발표”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푹 쉬었는데 더 피곤”…연휴 증후군 극복하려면 [e건강~쏙]
  • 이재명, 청년 정책 발표…“가상자산 ETF 도입·군 복무경력 호봉 반영”
  • 관세 공포·요동치는 환율…아시아 증시서 발 빼는 개미들
  • "강남 그 단지 언제 나오나"…대선 앞두고 밀리는 아파트 분양
  • 김문수 “당 지도부, 후보 배제한 채 운영 강행…단일화기구 일방적 통보”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652,000
    • +0.09%
    • 이더리움
    • 2,573,000
    • -0.66%
    • 비트코인 캐시
    • 514,500
    • +0.59%
    • 리플
    • 2,995
    • -3.2%
    • 솔라나
    • 207,300
    • -0.77%
    • 에이다
    • 946
    • -2.97%
    • 이오스
    • 992
    • -1.1%
    • 트론
    • 351
    • -1.13%
    • 스텔라루멘
    • 368
    • -3.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550
    • -1.5%
    • 체인링크
    • 19,310
    • -3.45%
    • 샌드박스
    • 391
    • -1.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