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미 연준 올해 말 기준금리 3.5% 도달할 것"

입력 2022-06-30 16: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연준이 올해 말 기준금리 3.5%까지 인상을 지속할 것이란 조사가 나왔다.

(사진제공=한국은행)
(사진제공=한국은행)

한국은행은 30일 '2022년 하반기 글로벌 경제여건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을 통해 대부분의 주요국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며, 하반기 통화정책 긴축 기조를 강화할 것이라 내다봤다.

미 연준, 영란은행, 호주중앙은행, 캐나다중앙은행은 상반기에 이어 정책금리 인상을 지속하고, 유럽중앙은행도 7월경 정책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중국은 국내 경기부양을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고, 일본도 경기회복 및 물가상승률 목표 달성 등을 위해 현재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미 연준이 당분간 큰 폭의 금리인상(front-loading)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책금리는 하반기 중 175~200bp(1bp=0.01%포인트) 인상돼 올해 말 3.5% 내외 수준에 이를 것으로 봤다. 7월 75bp, 9월 50bp, 11월 25~50bp, 12월 25bp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6월부터 진행되고 있는 대차대조표(국채 및 MBS) 축소는 9월부터 월 축소 한도를 확대(6월 국채 300억 달러, MBS 175억 달러 → 9월 각각 600억 달러, 350억 달러)해 실시할 것이라 봤다. MBS의 경우 9월부터 원리금 상환액이 월 축소 한도에 도달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나 월별 감축 한도 미달분에 대한 보유 MBS 직접매각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은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정책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 연말 수신금리가 1.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 중 총 4차례 인상(7월 25bp, 9월 50bp, 10월 50bp, 12월 25bp)이 예상되며, 수신금리는 2022년 9월 기준 마이너스(-)를 탈피할 것이라 봤다.

영란은행(BOE)은 하반기 중 통화정책 긴축기조를 이어가면서 정책금리를 75~125bp 추가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예상되는 올해 말 정책금리는 2.00~2.50%다. 6월 통화정책회의에서의 매파적 포워드 가이던스로 8~9월 중 정책금리 50bp 인상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2023년 이후 경기하강 국면으로의 진입 전망에 따라 4분기에 접어들면서는 정책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중국인민은행(PBOC)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긴축 강화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기부양을 위해 하반기에도 완화적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 봤다. 미·중 금리 차 역전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 등으로 LPR(1년물, 3.70%) 등 정책금리 인하는 최소화하는 가운데, 재대출 금리 인하 등을 활용해 특정 부문에 대한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일본은행(BOJ)은 코로나 충격에서의 경기회복 및 물가상승률 목표의 안정적 달성을 위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전망이다. BOJ는 일본경제가 코로나 충격 회복 초기 단계이며, 최근의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물가상승은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엔화 약세 심화 및 이에 대한 국내의 부정적 여론 확산 등으로 YCC 정책변경에 대한 시장기대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간주했다.

(사진제공=한국은행)
(사진제공=한국은행)

경제성장에 대한 분석도 내놨다. 주요국별로는 미국 경제는 민간부문의 견조한 펀더멘털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및 미 연준의 긴축 가속화 등으로 올해 중 2% 중반대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 전망했다.

높은 물가압력 지속 및 금리 인상에 따른 긴축적 금융여건은 소비 여력 위축 및 기업마진 축소로 이어지면서 성장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동안 누적된 가계부문의 대규모 초과저축 및 기업부문의 건전한 재무 여건 등은 완만한 성장세를 지지할 것이라 간주했다.

유로 지역은 가계소비 증가세 둔화, 기업투자 위축 등으로 성장세가 상반기에 비해 다소 둔화하면서, 올해 중 2% 중반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다만 EU 차원에서의 확장적 재정부양책은 성장 둔화세를 일부 완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영국은 정부의 가계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 및 민간소비 부진 등으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되면서 올해 중 3% 중후반대의 성장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중국은 정책당국의 경기부양 효과 등으로 성장률이 상반기보다는 개선되겠으나, 제로 코로나 정책 유지 등으로 연간 성장률은 정부 목표치(5.5%)보다 낮은 4%대에 그칠 것으로 봤다. 정부 주도의 인프라 위주 투자는 증가하겠지만, 소비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둔화 등으로 수출 증가세도 약화될 전망이다.

일본은 정부의 재정정책 및 코로나 확산세 진정 등으로 성장세가 상반기보다는 개선되겠으나, 연간으로는 1% 후반대의 성장률에 그칠 것으로 봤다.

(사진제공=한국은행)
(사진제공=한국은행)

글로벌 물가는 높은 원자재·에너지 가격 장기화 및 광범위하게 확산된 인플레이션 압력 등으로 하반기에도 높은 수준을 이어갈 전망이다. 다만 주요국 중앙은행의 본격적인 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수요 둔화 등으로 하반기 중 정점을 지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국별로는 미국은 물가상승률(CPI)이 하반기 중 정점을 지나겠으나, 높은 에너지 및 서비스 가격이 지속되면서 올해 중 7% 중반대의 높은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주거비용, 인건비 상승의 영향 등으로 근원 인플레이션(core PCE)도 4% 후반대의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봤다.

유로지역은 에너지 공급 차질 등으로 높은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올해 중 물가상승률(HICP)은 7% 초·중반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에너지, 원자재 등에 국한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올해 중 근원 인플레이션은 3% 초중반대로 예상했다.

영국은 상품 및 에너지 가격 상승의 서비스 부문 전이, 정부의 에너지 가격 상한 인상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돼 올해 중 물가상승률이 8% 초반(CPI 기준)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은 생산자물가 상승의 일부 전가 및 식품 가격 상승 등으로 상반기(1~5월 평균 1.5%)보다 높은 연간 2% 중반대의 상승률(CPI 기준)을 보일 전망이다.

일본은 휴대전화 통신료 인하 효과가 소멸된 가운데 에너지 및 원자재, 식품 가격 상승 등으로 상반기(1~5월 평균 1.5%)보다 높은 연간 2% 내외의 상승률(CPI 기준)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대중교통 요금 20% 환급"...K-패스 오늘부터 발급
  • "민희진, 뉴진스 이용 말라"…트럭 시위 시작한 뉴진스 팬들
  • 중소기업 안 가는 이유요?…"대기업과 월급 2배 차이라서" [데이터클립]
  • "이더리움 ETF, 5월 승인 희박"…비트코인, 나스닥 상승에도 6만6000달러서 횡보 [Bit코인]
  • 반백년 情 나눈 ‘초코파이’…세계인 입맛 사르르 녹였네[장수 K푸드①]
  • 임영웅·아이유·손흥민…'억' 소리 나는 스타마케팅의 '명암'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류현진, kt 상대 통산 100승 조준…최정도 최다 홈런 도전 [프로야구 2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15: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929,000
    • -0.29%
    • 이더리움
    • 4,677,000
    • +1.39%
    • 비트코인 캐시
    • 730,500
    • -1.75%
    • 리플
    • 788
    • -1.01%
    • 솔라나
    • 228,000
    • +1.29%
    • 에이다
    • 729
    • -2.15%
    • 이오스
    • 1,244
    • +1.72%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73
    • +1.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3,800
    • -0.38%
    • 체인링크
    • 22,150
    • -0.94%
    • 샌드박스
    • 718
    • +1.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