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리, 이커머스 1호 상장 본격 추진…상장예비심사 신청서 제출

입력 2022-03-28 17:18 수정 2022-03-28 17: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가 28일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함으로써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를 시작했다. 증시 입성에 성공할 경우 이커머스 기업으로는 국내 증시 최초 상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켓컬리는 2015년 5월, 세계 최초의 새벽배송 서비스를 선보이며 소비자의 일상 장보기 문화를 혁신하고 있다. 고객이 밤 11시 전에 상품을 주문하면 다음 날 아침 7시까지 집 앞으로 배송해 주는 ‘샛별배송’으로 거대한 새 시장을 창출했다. 여러 후발주자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창업 이래 확고한 리더십을 유지하고 있다.

컬리는 이를 바탕으로 지난 해에도 뛰어난 성장성을 입증했다. 2021년 총 거래액 2조 원을 달성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65% 성장한 수치다. 가입고객 수 또한 전년 대비 43% 증가해,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영업이익 흑자전환의 선행지표라 할 수 있는 공헌이익에서 3년째 흑자를 달성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아울러 지속 성장의 동력이 될 물류 시설 확충, 대규모 개발자 채용, 데이터 역량 강화 등에도 적극적인 선투자를 진행했다. 지난해 3월 김포 물류센터를 추가 가동함으로써 주문처리 캐파(capacity)를 2.3배로 늘렸다. 샛별배송 가능 지역 또한 수도권에서 충청권, 대구, 부산, 울산으로 크게 확대했다. 테크 인력 역시 100명에서 200명 이상으로 확 늘어나, 전체 사무직 임직원의 20% 비중을 차지하게 됐다.

컬리는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JP모건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하고 국내 이커머스 1호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거래소가 지적했던 김슬아 컬리 대표의 지분율 문제도 김 대표와 재무적투자자(FI)들의 보호예수기간을 길게 설정하는 방법으로 합의점을 찾았다.

컬리는 지난해 프리IPO까지 성공시키며 기업가치를 4조 원까지 끌어올렸으며, 증권업계에서는 컬리의 상장 후 기업가치를 7조 원까지 전망하고 있다. 컬리가 이커머스로는 처음으로 국내 증시에 상장에 성공할 경우 SSG닷컴, 11번가, 오아시스마켓, CJ올리브영 등 후발 주자들도 상장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종훈 컬리 최고 재무 책임자(CFO)는 “예비심사 신청은 상장 추진을 위한 첫 걸음이다”면서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적의 시점에 상장을 진행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주주, 주관사, 거래소와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811,000
    • -0.18%
    • 이더리움
    • 5,051,000
    • +0.8%
    • 비트코인 캐시
    • 609,500
    • +0.66%
    • 리플
    • 693
    • +2.21%
    • 솔라나
    • 204,500
    • -0.34%
    • 에이다
    • 585
    • -0.68%
    • 이오스
    • 938
    • +0.32%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850
    • -1.27%
    • 체인링크
    • 20,960
    • -1.36%
    • 샌드박스
    • 543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