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美 하와이에 상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 공급

입력 2021-03-24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와이 주 정부 산하 연구소 6월부터 납품…핵심 부품, 화재 안전성 등 강점

▲LG전자가 미국 하와이에 상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을 공급한다. 사진은 LG전자 컨테이너형 상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미국 하와이에 상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을 공급한다. 사진은 LG전자 컨테이너형 상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미국 하와이에 상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공급한다.

24일 LG전자에 따르면 회사가 참여한 한·미 컨소시엄이 최근 하와이 주 정부가 추진하는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사업 관련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친환경 전력 시스템이다.

한미 컨소시엄엔 LG전자 외에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 에너지 기술 관련 인공지능 솔루션 업체인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Encored Technologies), 하와이 대학교, 서울대학교, 광주 과학기술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6월부터 하와이 주 정부 산하 연구소인 하와이 자연에너지연구기구(NELHA)에 투입될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공급할 계획이다. LG전자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연구소가 운영하는 양식장 해수공급시스템의 전력을 공급한다.

하와이 주 정부는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확대해 2045년까지 100% 재생 에너지원으로 전력 공급을 목표로 한다.

LG전자가 미국 주 정부에 상업용 ESS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이번 계약을 토대로 해외 ESS 시장에서의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LG전자 ESS는 250kW(킬로와트)급 전력변환장치(PCS), 전력관리시스템(PMS), 756kWh급 배터리, 냉난방기, 소화설비, 발전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고 전력계통에 운반하는 수배전반 등이 패키지에 포함돼 설치가 간편하다.

주행거리가 400㎞ 수준인 전기자동차를 동시에 약 10대 완충할 수 있는 배터리 용량이다.

LG전자는 PCS에 차별화된 기술력을 집약시켰다. PCS는 -30도부터 50도까지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PCS를 병렬로 이어 붙일 수 있어 설치 활용도도 높다.

또 LG전자가 PCS에 처음 선보이는 무정전 비상전원기능은 정전이 발생했을 때도 20ms(밀리세컨드, 1000분의 1초) 이내로 전력을 신속하고 끊김 없이 공급해준다.

이번에 설치될 ESS는 24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특이사항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고객들은 PCS와 배터리는 물론 공조장치까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LG전자 ESS 사업 담당 안혁성 상무는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제품을 앞세워 해외 ESS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51,000
    • -0.41%
    • 이더리움
    • 5,293,000
    • +1.79%
    • 비트코인 캐시
    • 638,500
    • -1.31%
    • 리플
    • 724
    • +0.42%
    • 솔라나
    • 233,000
    • +0.6%
    • 에이다
    • 627
    • +0.97%
    • 이오스
    • 1,143
    • +1.33%
    • 트론
    • 157
    • +1.29%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17%
    • 체인링크
    • 25,960
    • +4.68%
    • 샌드박스
    • 607
    • -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