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사, 지난해 국내 R&D에 4800억 투자

입력 2020-09-29 15: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자료제공=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지난해 글로벌제약사들이 국내 연구·개발(R&D)에 약 4800억 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는 35개 회원사를 대상으로‘2019년 국내 R&D 투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9년 임상연구에 투자한 R&D 총비용(해외 본사에서 직접 외주한 R&D 비용 제외)이 약 4837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2016년부터 지난 4년간 지속적으로 조사에 참여한 27개 회원사를 기준으로 증감을 살펴보면, 전체 R&D 투자는 2016년 3614억원, 2017년 3,967억 원, 2018년 4597억원, 2019년 4,775억원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또한 이번 조사에 참여한 35개사의 R&D 인력은 2019년 기준 총 1702명으로 고용 창출 효과도 확인됐다.

지난해에는 글로벌 제약사 35곳에서 총 1536건의 임상연구가 수행됐다. 2018년 대비 임상 1상과 2상의 수가 증가했으며, 2017년 이후 비중재 관찰연구 임상시험 건수가 늘었다.

아울러 임상연구를 통한 R&D 투자뿐만 아니라 기초 연구지원(10건), 비 임상시험(8건), 국내 개발 물질 도입, 국내 제약사 및 연구소와 공동 개발, 국내 병원 및 단체와의 연구 개발을 위한 협약 등(16건) 다양한 공동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연구를 통해 국내 환자에게 무상으로 의약품을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치료기회를 부여하는데 사용된 임상시험용의약품의 비용 가치는 지난해 총 1595억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암과 희귀질환 임상연구 비율이 전체 임상연구 건 수의 약 60%를 차지했다.

KRPIA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R&D 투자 활동이 우리나라 경제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면서 “임상시험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유관부처의 합리적인 정책 및 제도 개선을 통해 국내 환자들에게 신속한 치료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0: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589,000
    • -0.23%
    • 이더리움
    • 5,080,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597,000
    • -1.89%
    • 리플
    • 685
    • -1.3%
    • 솔라나
    • 209,100
    • +2.05%
    • 에이다
    • 584
    • -0.17%
    • 이오스
    • 909
    • -2.99%
    • 트론
    • 167
    • +1.83%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800
    • -1.99%
    • 체인링크
    • 21,040
    • +0.81%
    • 샌드박스
    • 531
    • -2.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