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ㆍ기아차-정보통신진흥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리' MOU 체결

입력 2020-05-08 09:24 수정 2020-05-08 09: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협력업체와 공동으로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활동 이어나갈 것”

▲현대기아차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사진제공=현대기아차)
▲현대기아차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사진제공=현대기아차)

현대ㆍ기아차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손잡고 자동차 제조업 분야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 혁신을 위해 앞장선다.

현대기아차는 NIPA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인포테인먼트, 전장부품 통합제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소프트웨어 비중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리의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체결됐다.

구체적으로 신규 사양을 개발하는 부품협력업체의 경우, 차량 및 서비스 내 오픈소스 사용 여부 판별 등을 위해 오픈소스 검증 툴 구매 및 사용, 관련 교육 등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기아차와 NIPA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공급망 관리 체계를 구축해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라이선스 검증 서비스 지원 △미래 자동차 기술 개발자 양성 지원 등 협력업체 부담 절감 및 상생 협력 강화를 위한 시스템을 마련한다.

나아가 협력업체의 자체 관리 역량 제고를 통한 자동차 제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까지 목표로 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현대기아차는 차량에 포함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관한 관리 정책을 협력업체까지 확장해 자동차 제조업 분야 오픈소스 관리를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또 협력업체 납품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준 수립 및 배포, 자동차 제조업 분야 최신 기술 및 추세에 관한 홍보 등을 통해 오픈소스 인식 제고 활동을 펼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협력업체 오픈소스 라이선스 검증 서비스, 관리체계 수립 및 전문가 양성 지원 등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이번 MOU를 통해 협력업체가 공급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및 계약위반 등 법적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며 “향후 협력업체와 공동으로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74,000
    • -0.41%
    • 이더리움
    • 5,027,000
    • +2.34%
    • 비트코인 캐시
    • 548,500
    • +0%
    • 리플
    • 697
    • +0.72%
    • 솔라나
    • 191,300
    • -1.29%
    • 에이다
    • 543
    • +0.74%
    • 이오스
    • 806
    • +2.94%
    • 트론
    • 164
    • +1.23%
    • 스텔라루멘
    • 131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50
    • +1.47%
    • 체인링크
    • 20,280
    • +3.47%
    • 샌드박스
    • 459
    • +4.32%
* 24시간 변동률 기준